15.2 C
Pyongyang
2025년 3월 26일 (수요일)

[북한 어제와 오늘] 소련 정치범으로 전락한 北 여성의 이야기

최근 독일에서 흥미로운 소련 기밀 문서가 공개되었다. 문서의 제목은 ‘외국 정보기관의 요원, 조국을 배신한 자들, 반소련 조직의 참가자, 처벌단 단원 및 기타 추적 대상...

[북한 어제와 오늘] 北 초대 총참모장 강건의 전사(戰死) 사건

전쟁을 연구할 때 항상 주목을 받는 사건 중 하나는 고위 지휘관의 급사이다. 제2차 세계대전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나치 독일의 체코 총독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암살...

[북한 어제와 오늘] 푸틴의 24년만 방북…’조소 동맹 조약’ 부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일 방북을 앞두고 “(북한과) 서방의 통제를 받지 않는 무역 및 호상(상호) 결제 체계를 발전시키고 일방적인 비합법적 제한조치들을 공동으로 발전해 나갈...

[북한 어제와 오늘] 김정은식 ‘반통일시대’ 진실

2024년 1월 김정은은 북한 국가사상에서 대변환을 일으켰다. 1945년 한반도 분단부터 줄곧 북한은 자기의 핵심 목표 중의 하나로 ‘북남통일’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김정은은 이 목표를 없앴고...

[북한 어제와 오늘] ‘한국’ 호칭을 내세우는 김정은의 속내

2024년 1월 김정은은 통일이라는 개념을 없앴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뜻에 따라 그동안 ‘우리민족끼리 북남(남북) 통일’을 주장했던 북한은 하루아침에 영구 분단을 내세우기 시작했다. 김정은 유턴 결과 중...

[북한 어제와 오늘] 외국에서 차용한 ‘위대한 수령’ 김일성 호칭

북한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수령(首領)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할 수 있을 것이다. ‘수령’은 북한의 지도자, 특히 초대 지도자인 김일성의 호칭이기 때문이다. 한국어에서 이 단어는...
두만강 철교 하산 나진 방천 퐝찬

[북한 어제와 오늘] 바그너 그룹의 반란과 북한 쿠데타 가능성

지난 주말 전 세계는 러시아에서 벌어진 군사 쿠데타 시도를 지켜보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용병 집단인 바그너 그룹은 러시아의 2개 대도시를 점령하여 모스크바까지 행진할...

[북한 어제와 오늘] 고르바초프와 푸틴, 그리고 김정은의 실수

2022년 8월 30일,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사망하였다. 이 사람만큼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고르바초프의 개혁 결과는 소련의 멸망,...

[북한 어제와 오늘] 김일성 고향이 ‘만경대’가 아니라고요?

북한 김일성이라는 인물을 연구할 때 특히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은 그 소년기다. 1945년 집권 이후는 물론 만주 항일무장 부대, 소련 붉은 군대 복무 시절의 김일성에...

[북한 어제와 오늘] 6·25 발발前 굶주리는 北인민 살렸던 ‘영웅’

북한 역사에 대한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게오르기 표도로프’라는 이름은 잘 모를 것이다. 하지만 그는 1945년 북조선에서 복무했던 소련군 장교였고, 붉은 군대의 용감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