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 C
Pyongyang
2023년 5월 29일 (월요일)

[北 주민 인터뷰] 상인들 “장마당 시간 늘려주길” 한목소리

미증유의 코로나 위기는 북한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국경봉쇄로 무역이 중단되고 장마당이 위축되면서는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주민들의 호소가 잇따랐습니다. 그런데 북한은 이렇게 모든 것이 부족한 때에도...

[北 주민 인터뷰] 무역업자 “다방면적으로 통로 열렸으면”

미증유의 코로나 위기는 북한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국경봉쇄로 무역이 중단되고 장마당이 위축되면서는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주민들의 호소가 잇따랐습니다. 그런데 북한은 이렇게 모든 것이 부족한 때에도...
옥류교

北 간부들, 통신연락선 복원에 “의미 없어…남조선 평화 구걸”

남북 간 통신연락선이 복원됐다는 소식을 접한 일반 북한 주민들은 남측의 식량 지원 여부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는 그만큼 주민들이 ‘먹고사는’ 것에 절실함을 느끼고 있다는...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 소식 들은 北 주민 “쌀 들어오는 건가”

1년 넘게 단절됐던 남북 간 통신연락선이 지난달 27일 전격 복원됐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여러 차례 친서를 교환하면서 복원에 합의했다는 청와대의 공식 발표가 있던...

25년 북한인권 지원 칼 거쉬만 “인내 필요하지만 포기말자”

여당의 단독 표결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법안심사 소위에서 ‘대북전단금지법(남북관계발전법 개정안)’이 통과됐던 지난 12월, 칼 거쉬만(Carl Gershman) 미국 국립민주주의기금(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회장이 통일부를 공개 비판했다. 통일부가...
최기식변호사

“북한인권 상황 기록만으로도 가해자 위축 시킬 수 있어”

“북한인권 문제에 있어 가해자를 국제법으로든 국내법으로든 법적으로 처벌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현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권침해 상황을 조사하고 기록한다는 것 자체가 행위를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  최근...

[인터뷰] “영화판 ‘안네의 일기’ 돼 北 정치범수용소 현실 알리길”

“북한인권 문제는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심각했다. 이틀간 잠을 못 잘 정도로 큰 충격을 받았다.” 재일교포 시미즈 한 에이지(淸水ハン榮治) 감독은 10여 년 전 처음 북한인권...

안보 전문가의 포부 “北에 끌려가는 정부 모습에 정계진출 결심”

“비핵화 협상은 2018년 3월 6일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이 평양에 다녀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의지가 확고하다고 밝혔을 때부터 단추가 잘못 끼워졌다. 정부는 북한이 해안포 발사로...
강동완 교수

“中 입국 거부로 당분간 접경지역 北주민 실태 추적 중단”

북중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북한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은 <평양 밖 북조선>, 중국에서 만난 탈북 여성의 인권 문제를 다룬 <엄마의 엄마> 등 북중 접경지역에서 북한에 대한...
지성호

‘목발 탈북’ 지성호, 북한인권운동가인 그가 입당하게 된 사연은?

지난 2018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회 국정연설에서 짚고 있던 목발을 번쩍 들어 올리며 환한 미소를 짓던 한 남자. 함경북도 회령 출신으로 20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