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강·하천정리사업에 주민 불만↑… “백성들만 죽어나”

큰물피해방지하천정리사업 돌입한 북한 황해북도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8일 “황해북도의 시,군들에서 하천정리사업이 본격적으로 벌어지고 있다”면서 관련 사진을 실었다. 신문은 “올해 도에서는 큰물(홍수) 피해 위험도가 높은 하천들을 위주로 바닥파기와 제방쌓기, 제방장석공사, 타래붓꽃심기 등을 진행할 목표를 세웠다”라고 전했다. /사진=노동신문·뉴스1

북한이 전국적으로 강·하천 정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매년 반복되는 공사와 자체 부담에 주민들이 상당한 불만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내부 소식통은 30일 데일리NK에 “그동안 치수 사업을 안 한 것이 아니고 계속해왔다”며 “반복되는 공사에 백성들만 죽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은 매년 봄과 가을에 주민들을 동원해 강·하천 정리, 도로 정비 등 국토관리 총동원사업을 하고 있다. 다만 올해는 8차 당대회에서 홍수나 산사태 등 수해 방지에 대비하는 사업이 나라의 만년대계 사업으로 정해져 대대적으로 진행 중이다.

그러나 과거와 마찬가지로 북한은 여전히 사업에 필요한 자재나 도구도 제공하지도 않고 공사를 밀어붙이고 있어 주민들이 염증을 느끼는 상황이다.

실제 소식통은 “우(상급)에서는 방뚝(제방)을 쌓으라는 둥 이것저것 포치만 내려보낸다”며 “나라가 세멘트(시멘트)를 강도 높은 것으로 보장해줘야 오래 갈 텐데 이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자재 보장은 하나도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렇게 사람만 동원하니 공사를 매년 반복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소식통은 “삽, 곡괭이, 바게쓰(바구니), 소랭이(대야), 맞들이(들것) 모두 개인이 준비해야 하는데 일하다 망가지면 또 본인이 자체 부담으로 다시 사서 들고나와야 한다”며 “동원되는 사람들은 점심 밥곽(도시락)까지 개별적으로 싸 오고, 후방지원부나 미동원된 사람들은 일하는 사람들이 마실 콩우유 재료를 살 돈을 내야 한다”고 했다.

무엇보다 현장에서는 기술지원도 제대로 되지 않아 부실 공사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공사 현장에는 소수의 기술자나 전문가가 배치되긴 하지만, 이들은 상당히 넓은 영역에 걸쳐 지도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제대로 된 기술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한다. 전문성 있는 현장 기술 지휘 인력 부족으로 부실 공사가 필연적으로 따라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얘기다.

소식통은 “조직별로 축성 전문가들을 20명당 2~3명씩 붙여주고 구간을 나눠 도급제를 시키고 있다”며 “모두 과학적으로 타산(계산)하고 공사하면 한 번 사람을 고달프게 동원해도 세워 놓은 것이 오래갈 수 있는데 그렇지 않다”고 했다.

이어 그는 “경력도 없이 일을 이제 막 알아가는 풋내기들이 공사 하고 있고 그나마 군대와 돌격대가 돌각담(돌담)을 곱게 안 무너지게 쌓고 있는 형편인데 국가는 만년대계 사업을 주인답게 하라고 한다”며 “이번 공사로 만들어 놓은 방뚝도 또 무너지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더욱이 북한 당국은 이번 사업으로 개인의 사상성을 평가하고 있어 주민들의 스트레스는 더욱 쌓이고 있다는 전언이다.

소식통은 “지금 진행 중인 조직별 치산치수 사업을 당정책 관철이라면서 당과 여맹(조선사회주의여성동맹), 청년동맹(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 직맹(조선직업총동맹), 농근맹(조선농업근로자동맹) 등 정치조직이 직접 현장에서 출석을 확인하고 있다”며 “공사에 나가지 않으면 사상적인 문제로 보니 반동으로 몰리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달 31일 ‘강·하천 정리 사업에 큰 힘을 넣자’는 제하의 기사에서 “자기 시·군의 물줄기 하나 다스리지 못해 피해 복구라는 무거운 짐을 나라에 떠맡긴다면 오늘의 총공격전에 떨쳐나선 일꾼이라고 떳떳이 말할 수 없다”며 책임성을 강조한 바 있다.

▶관련기사 보기: 북한, 만년대계 ‘하천 정리사업’ 자재·연유 주민에 부담 강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