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 빈 北 농촌 자재 상사 창고…농사 시작 전부터 삐걱?

자재 공급하는 기능·역할 상실하고 쓰레기 더미로 변해…북한의 만성적인 자재난 방증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일 올해 알곡 생산 목표 달성을 위해 비료 등 농사채비를 강조했다. 사진은 농사채비 중인 평안남도 숙천군 연화농장 일꾼들의 모습. /사진=노동신문·뉴스1

북한이 올해도 농업 생산량 확대를 중대 과업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농촌에 영농자재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평안남도 소식통은 8일 데일리NK에 “평성시에 있는 농촌 자재 상사 창고가 텅 비어 쥐들의 천국이 됐다”며 “중앙 자재 상사나 도 농촌경리위원회도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고 전했다.

자재 상사는 내각에서 자재공급 임무를 부여받은 기관으로, 농장이나 기업소에 직접 자재를 공급한다. 예컨대 평안북도 농촌경리위원회 산하 자재 상사는 도내 농장에 영농자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국가 계획에 따라 자재를 공급하는 자재 상사가 텅 비어 있다는 것은 그만큼 북한의 자재난이 심각하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소식통은 “농촌 자재 상사가 제 역할을 못 하는 일은 중앙으로부터 공급이 마비된 상황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소식통은 “도 소재지들에 있는 농촌 자재 상사 창고가 텅 비어 쓰레기 더미로 변하거나 심지어 범죄 현장으로 이용되는 사례도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며 “도 농촌 자재 상사가 이 정도면 시·군 자재 공급소는 더 심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재 상사의 기능 마비로 영농자재가 제때 공급되지 못하면 농사 채비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농업 생산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런데도 북한 당국은 마땅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농업 부문 자재 보장을 못 하니 (자재 상사를) 아예 폐지하고 살림집으로 이용하는 편이 났다는 말도 나온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한시라도 빨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북한 내 다른 지역의 농촌 자재 상사나 다른 산업 영역의 자재 상사들도 이처럼 기능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지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