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

[동아시아 포커스] 각자의 역사 해석과 각국의 북한 비핵화 입장

인류 역사에서 끔찍한 사건들은 한 민족 전체가 능동적 혹은 수동적으로 협력한 탓에 벌어진 일이다. 예컨대 샤를 드골(Charles De Gaulle)은 <<전쟁 회고록>>에서 1945년 5월 8일까지...

[동아시아포커스] 北노동자 이동과 3차 북미회담의 조건

김일성 생일(4월 15일)을 전후로 북중 접경지역에서 북한 사람들은 보기 힘들다. 올해도 예년과 다름없이, 4월 10일을 기점으로 많은 북한 주민들이 채비를 하며 다음을 기약하는 이야기가...
초급선전일군대회

[동아시아포커스] “수령 혁명활동 신비화 안 된다”는 김정은

지난 6, 7일 양일간 평양체육관에서는 제2차 전국당 초급선전일군(일꾼)대회가 있었다. 17년 만(1차_2001.04.)에 개최된 대회에서는 1차 대회 이후 선전선동사업에서의 성과와 부족했던 점들을 분석·총화하였다. 대회에는 북한 전국의...
베트남 하노이 북한 대사관

[동아시아포커스] 베트남의 경제정책과 김정은의 고민

Đổi Mới (Eng. : Renovation)는 ‘사회주의 시장경제(socialist-oriented market economy)를 위한 베트남 정부(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이하 DRV)가 시행한 초기의 경제정책(1986년)을 의미한다. 베트남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상적인 용어지만, 도이모이...

[동아시아 포커스] 2차 북미정상회담과 비핵화 진전을 위한 노력

2차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실무진들이 바빠지기 시작했다. 국제정치상에서 실무진의 움직임이 가시화되었다는 것은 온라인이나 통신으로 의제에 대한 아웃라인이 잡히고, 본격적인 회담을 위한 착수작업이 시작되었다는 의미다. 1차 북미정상회담(2018.06.12._Santosa...

[동아시아 포커스] 김일성 장군과 눈썰매

북한을 연구하기 시작한 해에 받은 첫 과제가 ‘김일성의 항일투쟁에 관한 정치역사학적 평가’였다. 그 이후에도 수많은 과제가 주어졌지만, 지금까지 기억에 남아 있다. 왜일까. 북한 정권에...

[동아시아포커스] 北 경제교류 의지와 비핵화 의구심

문재인 대통령의 7박 9일 유럽순방(2018.10.13.~10.21.)을 끝으로 제2차 북미대화가 시작되었다. 빠르게 진행되는 듯 했던 북미 비핵화협상의 상승세가 경착륙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세간의 관심과 우려는 문재인...

[동아시아 포커스] 비핵화 시간표와 경제협력

3차 남북정상회담(09.18.~09.20.)이 마무리되고, 2차 북미정상회담의 서막이 올랐다. 평양공동선언(이하, 평양선언)에서 명시된 사항들은 남북관계가 한 단계 격상되었음과 비핵화시간표에 대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의지를 확인시켜주었다. 그 내용을 보면...

[동아시아 포커스] 북핵의 불편한 진실

평창올림픽(2018. 02.)을 기점으로 지난 6개월 여 동안 북한과 관련한 동아시아는 글이 현상을 따라갈 수 없을 정도로 급격히 그리고 급박하게 사건이 시간을 이끌었다. 어쩌면 기존의...

[동아시아 포커스] 대국의 조건과 북한 김정은의 현명한 선택

로마를 세계적인 제국의 길로 이끌었던 한니발전쟁(B.C.218), 12척의 배로 37척을 이긴 한산도대첩(1592), 무적함대 펠리페 2세를 이긴 작은 섬나라 영국의 칼레 해전(Naval Battle of Calasis, 1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