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임 후 첫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한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17일 김영호 통일부 장관을 만나 북한 인권 개선 분야에서의 한미 간 협력 의지를 다졌다.
터너 특사는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김 장관과 만나 “북한의 인권 실상은 세계 최악의 수준”이라며 “통일부와 북한의 끔찍한 인권 실상과 관련해 책임자들에게 책임을 묻는 것에서 협력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한미 양국이 굳건한 동맹을 바탕으로, 또 한미일 3국 정상의 캠프 데이비드 합의에서 보편적 자유와 인권을 보장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했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더 잘 협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터너 특사를 면담한 김 장관은 최근 중국 동북3성 지역에서 다수의 탈북민들이 강제북송된 사실을 언급하며 본인의 자유의사에 반한 강제북송이 이뤄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재차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국으로 오기를 희망하는 탈북민들을 전원 수용하겠다는 정부의 원칙도 다시금 설명했다.
김 장관은 “앞으로 중국을 비롯해 제3국에 체류하고 있는 탈북민들이 자신들의 인권을 보장받고 본인이 희망하는 곳에서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는 최선을 다해나갈 것”이라며 “미국 정부와 국제사회가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데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특히 터너 특사의 각별한 관심과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터너 특사는 “지난주에 있었던 강제북송 사태와 관련해 한국과 마찬가지로 깊이 우려하고 있다”면서 “미국은 모든 정부가 강제송환 원칙을 지키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탈북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과 관련해서는 한국이든 미국이든 희망한다면 탈북민들을 수용하고 환영할 준비가 됐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