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전망에 따르면, 한반도 북부지방에는 올해 봄 라니냐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가뭄과 꽃샘추위로 저온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봄철 모내기를 앞두고 기상변동에 따른 이상기후로 북한에 가뭄 현상 예보가 나온 것이다. 이에 대해 위성영상으로 확인해 봤다.
유럽우주청(ESA) 센티넬-2A 및 2B호 위성이 최근 촬영한 자료를 바탕으로 북한 주요 저수지의 저수 실태를 살펴봤다. 지난해 위성 자료와 비교한 결과, 올해 북한 저수지 8곳 수면의 면적이 13.7%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본격적인 논농사가 시작되는 5월 모내기 철에 북한 농업용수 확보 상황은 예년에 비해 다소 원활치 못할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해와 올해 4월 말 같은 날 촬영한 위성사진을 이용해서 표본 선정한 저수지에 대해 수면적을 측정하고, 전년도와 변동된 면적 및 비율 등 저수 실태를 살펴봤다. 평양 역포구역 대중저수지와 남포 항구구역 삼화저수지에서 올해 23.1%와 18.6%씩 지난해보다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황남 신천군 포구저수지와 황북 인산군 은파저수지도 16.0%와 18.6%씩 감소했다.

평남 평성시 차모저수지, 평북 구장군 사오리저수지도 2.2%와 19.0%씩 감소했고, 강원 고산군 안이저수지와 함남 고원군 사슬막저수지 또한 33.0%와 15.6%씩 저수 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 표본 저수지 8곳에 대해서 위성사진으로 측정한 수면적 감소 실태를 종합해서 아래 표에 나타냈다.
북한 주요 저수지 8곳에 대해 올해와 지난해 4월 같은 날 촬영한 위성사진으로 저수지 수면의 면적을 측정해서 변동 실태를 파악한 결과, 강원도 고산군 안이저수지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33.0%)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본지 8곳을 종합하면, 북한 올봄 저수지 물은 평균 13.7%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위성분석 보도에서 북한 밀과 보리 재배면적이 22.3% 증가하여 올봄 밭농사는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관련 기사 바로보기: [위성+] 김정은 지시 후…올해도 봄밀·보리 재배 22.3% 증가) 반면, 이번 저수지 분석에서 기후변화 영향인지 수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고, 올봄 북한 논농사에서는 모내기 철을 맞이해 다소 물 부족 현상이 있을 것이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