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인의 북한 단체 관광 재개 움직임 등으로 북중관계 개선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지만, 아직 북한 노동자 문제나 북중 간 무역 부문에 대한 중국 정부의 통제가 완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25일 중국의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에서 일하던 북한 노동자들이 단체로 강제 출국 조치되는 사건이 최근 연이어 발생했다.
중국에 체류하는 북한 노동자들은 공장과 기숙사를 벗어나 시내에 물건을 사러 가거나 나들이하러 나갈 때 사전에 중국 공안에 신고를 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달 중순 북한 노동자 1명이 이 같은 규정을 어기고 단둥 시내를 돌아다니다 공안에 적발됐고, 결국 이 노동자를 포함해 그가 속해 있는 공장의 북한 노동자 전원이 출국 조치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 공장에서 일하던 북한 노동자들 일부는 이미 귀국한 상태여서 남아 있던 인원이 100명 이하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원래 남아 있던 인원들은 올해 안에 순차적으로 귀국할 계획이었지만 별안간 출국 조치가 내려져 한꺼번에 북한으로 돌아가게 됐다는 전언이다.
그에 앞서 이달 초에도 이와 유사한 일이 있었다.
단둥 개발구에 위치한 한 공장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해 북한 노동자와 관리 간부 등 3명이 사전 외출 신고를 미처 하지 못한 채 단둥 시내에 있는 병원을 방문했다. 그런데 후에 이 사실이 중국 공안에 알려지면서 해당 공장에 소속된 100여 명의 북한 노동자 전체가 강제 출국 조치된 것이다.
별안간 공장문을 닫게 된 중국인 공장장이 공안을 찾아가 응급 상황이라 피치 못하게 규정을 어겼다고 해명했음에도 강제 출국 조치는 철회되지 않았다고 한다.
소식통은 “이번에 북한 노동자들이 대거 강제 출국 조치되면서 단둥 개발구 분위기가 뒤숭숭하다”며 “그냥 넘어갈 수도 있는 일인데 중국 정부가 북한 노동자들에 대한 통제를 계속하고 있으니 전원 귀국 조치한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9월에도 북한 노동자가 작업장을 무단이탈해 단둥 시내를 돌아다니다 공안에 적발되자 그가 소속된 공장의 북한 노동자들을 전원 강제 출국 조치한 바 있다. (▶관련 기사 바로가기: 北 노동자 강제 출국 당했다…북중 간 이상기류 가시화?)
한편, 중국 정부는 대북 반출품에 대한 검역을 강화하는 등 무역 부문에서의 통제도 계속하고 있다.
또 다른 중국의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단둥시 정부는 대북 반출품을 세관에서 검사하기 전에 최소 두 번 이상의 별도 검사 단계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사치품 등 대북제재 품목이 반출품에 섞여 있지 않은지를 확인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한다.
단둥시가 반출품 별도 검사를 실시하는 장소는 단둥 시내에 위치한 물류창고 등으로 검사 시마다 검역 장소가 바뀐다고 한다. 이 때문에 물건을 중국에서 북한으로 들여보내는 운송업자들이 불만을 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지방 정부가 이렇게 대북 반출품 검사를 강화하고 있는 것은 사실상 북한에 대한 중국 정부의 불편한 심기가 드러나는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소식통은 “단둥에서 신의주로 나가는 물품에 대한 검사가 이렇게 까다로웠던 적이 없다”며 “중국과 북한 관계가 좋아지면 중국 시 정부가 하는 추가 검사는 사라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