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가히 ‘환율 쇼크’라고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북한 시장에서 외화 환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북한 원·달러 환율은 올해 1월 8300원에서 11월 현재 1만 8100원까지 치솟았고, 북한 원·위안 환율은 1250원에서 2200원까지 뛰어올랐습니다. 올해 초와 비교할 때 현재 달러 환율은 2.18배, 위안 환율은 1.76배 상승한 겁니다. 데일리NK는 이 같은 환율 급등이 북한 경제와 주민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짚어보고자 합니다. |

북한에서 달러 및 위안화 등 외화 환율이 고공행진하면서 북한 내화 가치가 곤두박질 치고 있다. 북한 원화보다 쌀이나 강냉이(옥수수) 같은 현물이 더 귀해지면서 외화를 환전할 때 북한 원화가 아니라 물건으로 달러나 위안을 사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복수의 데일리NK 북한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돈 가치가 계속 떨어지면서 최근 국돈(북한 돈)과 외화를 맞교환하는 일이 줄어들고 있다. 국돈은 아무리 많이 가지고 있어도 가치가 하락할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외화를 파는 돈데꼬(환전상)는 물론이고 수입품이나 도매 장사꾼들도 국돈을 받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대신 쌀이나 식용유, 휘발유, 경유 등 현물과 외화를 맞교환하는 일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평안남도 소식통은 “국돈으로 딸라(달러)를 교환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며 “양(액수)이 많지 않으면 쌀로 딸라를 사기도 한다”고 말했다. 비교적 소액의 달러나 위안을 구매하려 할 경우 쌀로 사는 경우가 많은데, 보통 1달러는 쌀 2~2.5kg와 맞교환된다고 한다.
다만 외화 거래액이 커질수록 쌀보다 가격이 비싼 식용유나 휘발유, 경유 등으로 외화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쌀은 부피가 너무 큰 데다 현재 북한에서 쌀이 귀하기 때문에 대량의 쌀을 구매하고, 유통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더욱이 쌀 장사꾼들도 물건을 팔 때 북한 돈을 받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에 대량의 쌀을 국돈으로 사는 게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북한 내화 가치의 하락으로 현금보다 현물이 귀해지면서 농장원들도 결산 분배를 받을 때 현금보다는 현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산 분배는 농장원들이 1년 동안 일한 대가를 출근율과 작업 기여도에 따라 현물과 현금으로 분배받는 것을 말하는데, 최근 현금 가치가 하락하고 현물이 귀해지면서 각 농장이 결산 분배에서 현금 비율을 크게 높인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지난달 초 평안남도 숙천군의 한 농장에서는 농장원들에게 결산 분배금을 전량 현금으로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년에 현물로 지급됐던 분배량과 비교하면 꽤 많은 금액을 현금으로 받은 것이지만 현물이 귀한 상태여서 현금을 받은 농장원들의 반응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관련 기사 바로보기: 환율·물가 계속 뛰자 北 주민들 사이에 ‘화폐개혁설’ 솔솔)
상황이 이렇게 되자 외화를 만질 일이 없는 북한 주민들의 경제난이 빠른 속도로 심화하는 양상이다.
일반 직장에 다니면서 텃밭에서 가꾼 채소나 집에서 만든 먹거리 등을 비공식 시장에 소규모로 내다 파는 주민들의 경우 외화를 벌지 못하면서 하루 벌어 하루 먹기도 벅찬 주민 세대가 증가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절량세대(絶糧世代·식량이 떨어진 세대)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며 “외화를 벌 수 있는 (국경) 연선 지역은 조금 나은 편이지만 안쪽(내륙) 지대로 갈수록 쌀을 못 먹고 죽으로 연명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했다.
다만 현재 북한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내화 거래 축소와 외화 통용 확대 현상이 더욱 강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의 달러라이제이션과 물가 안정의 관계를 연구해 온 문성민 북한학 박사(전 한국은행 북한경제연구실 선임연구위원)는 “북한 내부에서 통용할 수 있는 달러나 위안의 통화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외화 통용 현상이 심화되기는 어렵다”며 “더욱이 외화만으로는 값이 싼 식품이나 생활용품을 살 수 없고 잔돈을 거슬러주기 어렵기 때문에 외화 통용 현상은 일정 수준에서 한계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문 박사는 “달러를 통용하는 상황에서 환율이 오르면 환율 수준에 맞추기 위해 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며 “다만 환율 상승 수준만큼 물가가 상승한다면 달러라이제이션 현상이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 기사 바로보기:
[북한 환율 쇼크] 환율 상승 이후 시장서 외화 쓰는 주민 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