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경북도가 31일부터 9월 10일까지를 9·9절(북한 정권수립일) 75주년 특별경비근무 기간으로 정하고 선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일리NK 함경북도 소식통은 31일 “도당위원회는 지난 25일 공화국 창건 75돌을 맞으며 기념행사들을 성과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안건으로 집행위원회 회의를 진행했으며 중요하게는 특별경비기간을 정하고 포치(지시)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실제 당시 회의는 ‘공화국 창건 75돌을 맞으며 긴장되고 동원된 태세로 중앙의 기념행사와 도적인 기념행사들을 성과적으로 보장하자’는 안건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회의에서 도당은 우선 8월 31일부터 9월 10일 24시까지를 도내 특별경비근무 기간으로 정했다. 그리고 이 기간 사소한 사건·사고도 발생하지 않도록 빈틈없이 경비를 강화해야 한다는 사상을 강조했다.
함경북도가 국경을 끼고 있는 특수한 지역인 것과 최근 주민들 속에서 반사회주의·비사회주의 행위가 노골화되고 있는 상황 등을 고려해 조금 더 긴장하자는 의미에서 특별경비근무 기간을 비교적 길게 잡은 것이라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소식통은 “회의에서는 지난 7·27(정전협정 체결일)을 맞으며 선포했던 특별경비근무 기간을 언급하면서 이 기간에 강도, 강간 등 각종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고 7·27 당일에도 도의 국경 지역들에서 밀수행위가 있었다는 지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도당은 이런 행위들을 근절하기 위해 이번에는 기간을 길게 잡고 미리 특별경비근무 기간을 선포하는 것이라면서 이 기간 당 및 정권기관이 강력한 규율을 세우고 통제를 강화해 사건·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은 틈도 주지 말라고 신신당부했다고 한다.
특히 도당은 북중 국경의 시·군들에 지난 7·27 때와 같이 밀수행위가 또 나타나지 않도록 이 기간 국경경비대 외 9군단 경비여단을 임시 동원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도당은 각지 안전부와 보위부가 인민반을 통해 문제 대상들을 미리 파악하고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장악해 사전에 막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동상, 사적물, 태양상, 연구실, 영생탑은 물론, 사적건물, 사적 단위 교시, 말씀비에 조명보장을 잘할 것과 보초를 잘 설 것, 실·공탄 관리를 잘할 것 등도 중요하게 언급했다.
소식통은 “도당은 안전부, 보위부에서 단속 인원들이 더 필요하면 기관 기업소들과 연계해 제대군인들을 뽑아 24시 근무조를 조직해 인민반과 길거리에서 범죄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특히 야간순찰을 강화해 범죄 근절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