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 철거, 철거, 철거…단절된 개성공단 연결도로
김정은이 2023년 말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한 이후 북한은 단계적으로 남북 간 육로를 단절하는 조치를 연달아 취해 왔다. 2023년 11월 경의선...
[남북통합] 북한이탈주민의 시간관념 적응기
북한이탈주민들은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해 나간다. 그중에서도 ‘시간관념’은 대한민국에서 정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남한과 북한은 체제뿐만 아니라 일상의 시간 관리 방식에서도...
[북한정론] 트럼프발 북한인권운동 위기
트럼프 대통령은 재집권에 성공한 이후 대선 캠페인 2대 캐치프레이즈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의 구체화에 진력하고 있다.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중요시했던 큰 정부,...
[북한과 국제법] 북한에 의한 강제실종: 전시납북자 문제
4월 3일 제58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북한인권결의가 2003년 인권위원회 이래 23년째 연속 채택되었다. 3월 13일에는 유엔 자의적구금실무그룹(WGAD)이 북한의 김정욱·김국기·최춘길 선교사의 장기 억류가 불법적인 임의 구금에...
[위성+] 41년 걸려 지은 김일성 숙원 사업 어랑천발전소 현황
북한이 함경북도 어랑군에 대규모 수력발전소를 건설했다. 어랑천발전소는 김일성 지시로 1981년에 건설이 시작돼서 41년 만에 완공된 것으로 어랑군과 명간군 사이 협곡과 산악지대에 자리한다. 이 발전소...
[위성+] 북한 압록강 도서에 교량 8개 신설 확인
북한이 2024년 여름 기록적 폭우와 급류로 큰 물난리를 겪은 압록강 도서에서 평안북도 내륙과 연결하는 교량을 여러 개 신설한 것이 최근 위성사진에서 확인됐다. 지난해 북한이...
[북한정론] 북한의 대남·대미 정책 단평
한미연합연습 ‘자유의 방패’(3.10~20)가 끝났다. 바이든 정책을 거부(ABB: Anything but Biden)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첫 훈련이어서 북한의 대응이 주목되었다. 그렇지만 ‘소문난 잔치에 먹을...
[북한 어제와 오늘] 소련 정치범으로 전락한 北 여성의 이야기
최근 독일에서 흥미로운 소련 기밀 문서가 공개되었다. 문서의 제목은 ‘외국 정보기관의 요원, 조국을 배신한 자들, 반소련 조직의 참가자, 처벌단 단원 및 기타 추적 대상...
[위성+] 北최대 단천발전소 준공 미루고, 총발전량 1/4로 축소
함경남도 허천군 단천발전소 1단계 공사가 준공이 마냥 미뤄지고 있다. 당초 기본설계도 1/4로 축소된 것으로 알려진다. 북한은 수력발전 건설 역사상 최대 규모의 단천발전소 토목공사로 장진강(함경남도...
[평양포커스] 1980년대 北 대남공작과 南 지하조직 활동
필자는 이전 글에서 북한이 작년 10월에 통일전선부를 ‘당 10국’으로 명칭을 변경했다고 했다. 그 주된 이유로 양지의 통일업무에서 음지의 대남공작으로의 무게중심 이동을 들었다(2.28. 평양포커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