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북한 여러 지역에서 볍씨 파종 작업이 시작된 가운데, 평안남도에서 무직자와 무단결근자들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이 이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각 지역 인민위원회는 무직자와 무단결근자들을 농장으로 보내 강제 노동을 시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7일 데일리NK 평안남도 소식통은 “최근 평성시와 순천시를 비롯한 평안남도 시·군들에서 무직자와 무단결근자들에 대한 단속이 벌어지고 있다”며 “단속된 사람들은 농장에 끌려가 보름 가까이 농사일에 투입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단속은 평안남도 인민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지난달 말부터 시작됐으며, 각 인민반이 무직자 조사에, 기관·기업소 노동과는 무단결근자 색출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도 인민위원회는 무직자들이 직장 배치 수속을 밟지 않거나 무단결근자들이 출근하지 않을 경우 법적 처벌이나 농촌 동원이 불가피하다고 으름장을 놨는데, 그럼에도 끝내 나서지 않은 이들이 결국 이달 초부터 농장에 끌려가 강제 노동에 동원되고 있다고 한다.
실제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3일 순천시의 한 인민반 30대 무직자 여성이 인근 농장으로 출근해 열흘간 일하라는 통보를 받았다. 이 여성은 이혼해 본가로 돌아온 뒤 줄곧 직장에 소속되지 않은 상태로 있다가 무직자 명단에 올라 농촌에 강제 동원됐다.
또 지난 4일에는 평성시에서 직장에 출근하지 않던 30대 무단결근자 남성이 보름 간의 농촌 동원 처분을 받았다. 그는 직장 월급만으로는 생활하기 어려운 가정 형편에 직장 청년동맹 위원장과도 갈등을 겪어 장기간 결근하고 있다가 이번에 농장에 끌려가게 됐다.
이렇게 북한은 봄철 파종기와 가을 수확철마다 무직자와 무단결근자들을 집중 단속해 농장의 부족한 인력을 보충하고 있다.
올해도 어김없이 농장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 같은 단속이 벌어졌는데, 무직자와 무단결근자가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라 당국은 이를 통해 내부 통제도 꾀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소식통은 “도당은 강도나 절도 사건의 상당수가 무직자나 무단결근자들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고 이를 사회적 문제로 지목하고 있다”며 “사실 이런 사건들의 근본 원인은 먹고 살기 어렵기 때문인데 애먼 사람들에게 책임을 전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365일 출근해도 배급도 없고 생활비(월급)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현실에서 누가 직장에 나가고 싶어 하겠느냐”며 “결국 이번 단속은 농촌의 부족한 인력을 메우면서 동시에 출근을 기피하는 현상을 막고 사회적 불안을 잠재우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