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도 ‘종전’ 대비?…”대러 관계 강화·군사협력 이어간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일 당대표단 단장으로 러시아를 방문 중인 리히용 당 비서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2월 27일 만났다고 보도했다. /사진=노동신문·뉴스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 내부적으로 종전 이후에도 대러 관계 강화 및 무기 판매, 첨단 기술 이전 등 군사협력은 계속 이어간다는 방침을 수립한 것으로 전해졌다.

11일 데일리NK 북한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북한 당국은 ‘우리(북한)의 국가 방위 전략은 특정한 사태에 따라 좌지우지되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러시아와의 전략적 협력도 이러한 기조 속에서 계속 발전해 나간다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세우고 있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러시아가 추가 파병을 요청한다면 즉각 호응한다는 입장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전쟁의 피 흘리는 마지막 순간, 마지막 전호에까지 무조건 우리 군인이 함께 한다는 게 당(黨)의 의지”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서는 최근 평안북도와 자강도 일부 군수공장들이 24시간 비상 가동 체제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방사포(다연장로켓포)를 생산하는 공장들이 점에서 대러 무기 수출과 맞물려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관련 기사 바로보기: “평북·자강도 군수공장 ‘풀가동’…무기 생산 전력투구 왜?”)

이런 가운데 북한은 핵무기 고도화에 필요한 기술 이전을 서두르지 않으면서도 독자적 연구개발 체계를 수립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당국은) 부문별 협조 조약이 다 존재하기 때문에 전쟁이 끝난다고 양국 간 기술 전수나 합작이 끝난다고 생각하지는 않고 있다”면서 “지속적인 합작과 교류로 세계적인 국방과학 강국으로 발전해 나간다는 것이 당의 목표이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로씨야(러시아)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 발전을 가속화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라는 판단”이라며 “당은 자력갱생과 과학기술 자립을 통해 군사적, 경제적 발전을 지속 실현해 나간다는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국방력 강화를 실현해 나가겠다는 의지는 변함이 없다는 뜻이다.

북미정상회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9년 6월 판문점 자유의 집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 /사진=노동신문

미국에는 ‘선 조치 후 대화’ 원칙 고수…중국과는 다양한 분야 협력 증진

일각에서는 트럼프 집권에 따라 북한이 향후 미국과 관계 개선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현재 북한 당국은 ‘아직은 믿지 못한다’는 입장을 견지 중이라고 한다.

소식통은 “미국의 책동이 지속되는 한 국제적 평화가 쉽게 실현될 수 없다고 보고 있다”면서 “대화는 언제든 할 수 있지만 먼저 상대편(미국)이 우리 국가(북한)의 자주권과 안전을 보장해 줘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특히 북한은 2019년 하노이 노딜의 굴욕감을 잊지 않고 있다는 후문이다. 중국을 횡단해 60시간씩 기차를 타고 와 회담장에 나온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빈손으로 돌려보낸 데 대해 북한은 여전히 “최고지도자의 진심을 무시했다”, “원수님(김 위원장)의 대외적 권위를 심히 훼손시켰다”고 평가하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이에 북한은 “(미국이) 실질적인 신뢰 구축 조치를 취할 성의와 진심을 보여야 한다”, “우리 국가의 자주권 침해에 해당되는 모든 행동을 중지해야 한다”는 ‘선(先) 조치 후(後) 대화’ 원칙을 세운 상태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한편으로 북한은 중국과 경제 협력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구상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로우(러우) 전쟁이 끝나더라도 조중(북중) 친선 관계는 현실에 맞게 더욱 강화될 것”이라면서 “국제 정세 속에 일부 난관이 존재할 수 있으나 서로는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관계를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제사회가 모르는 다방면적인 분야에서 조중 간 협력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고 했다.

양강도 혜산이나 자강도 국경 지역에서 진행되는 국가밀수(북한 당국 승인하에 이뤄지는 밀수)를 통해 대북 제재 품목이 활발하게 유입되고 있는 점과 일부는 철수했지만 여전히 곳곳에서 노동자 파견이 이뤄지고 있는 점도 소식통이 언급한 북중 협력의 일종으로 해석된다.

이런 가운데 북한 선전선동부에서는 종전 상황 대비 주민 사상교양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 소식통은 “우크라이나는 핵을 내놓고 동맹이라는 허울좋은 보자기에 가려 전쟁의 불도가니가 됐는데 오히려 로씨야는 전쟁이라는 결단을 통해 오히려 상황을 좋게 만들었다는 식으로 자료를 만들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로써 핵무력 강화 정책이 옳다는 것을 주민들에게 선전하고, 강력한 국방력이 평화와 안전을 위한 필수요소라는 점을 강조한다는 방침이라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이상용 기자
sylee@uni-medi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