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인민적 행위로 낙인 찍힌 우시군 일꾼들 결국 처형됐다

비서국 확대회의 후 며칠 만에 공개처형 집행…"죽이는 짓 좀 그만두고 근본적인 대책 세워주길"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월 29일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30차 비서국 확대회의가 지난 27일 당중앙위원회 본부에서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이번 회의는 남포시 온천군과 자강도 우시군에서 각각 발생한 음주접대, 주민 재산 침해 사건과 관련해 소집됐으며, 조용원 조직 비서와 김재룡 규율조사부장이 직접 문제 행위들을 폭로했다. /사진=노동신문·뉴스1

자강도 우시군 농업감찰기관 감찰원들의 특대형범죄행위와 관련해 주모자들과 가담자들의 법적 검토를 논한 북한 당국이 결국 공개처형을 단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데일리NK 자강도 소식통에 따르면 반인민적 범죄 행위를 저질러 최근 열린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30차 비서국 확대회의에서 엄중히 지적된 군(郡) 농업감찰기관 감찰원과 안전부장 등 관련자 10여 명이 지난달 31일 우시군 주민들 앞에서 공개처형됐다.

비서국 확대회의가 끝난 직후 관련자들에 대한 처벌이 빠르게 집행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회의에서 언급된 우시군 당위원회 책임비서를 비롯해 이번 사건에 연루된 군당 일꾼들과 군 농업경영위원회 일꾼 등은 아직 조사가 더 진행 중으로, 이번 처형 대상에서는 일단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무더기 공개처형이 집행될 정도로 크게 문제시된 이번 사건은 지난해 가을 우시군 농장들에서 군량미를 무조건 보장하라는 당의 지시를 관철하기 위해 일반 주민들에게 부족분을 내라고 요구한 것이 발단이 됐다는 게 소식통의 주장이다.

당시 주민들이 순순히 군량미 부족분을 바치지 않자 농업감찰기관이 나서 감찰대를 꾸려 집집마다 가택수색을 펼쳤다는 것이다.

소식통은 “군량미를 내라고 집 수색을 하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데, 이번에는 집짐승이나 가전제품까지 들어내는 등 알곡이 아닌 개인 세간살이에까지 손을 대 사람들의 원성을 크게 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오죽하면 주민들이 키우던 집짐승까지 끌고 가는 감찰원을 향해 ‘일제(강점기) 때 왜놈 순사도 이렇게는 안 했을거다’라고 욕하며 ‘왜정 때보다 더 살기 힘든 세상’이라고 한탄하기까지 했겠느냐”고 했다.

몇몇 주민들이 안전부에 이런 행패들을 신소(신고)하기도 했지만, 안전부는 이를 접수하고도 사건화하지 않고 오히려 농업감찰기관에 귀띔을 해주는 식으로 적절치 못하게 대응해 결국 안전부장도 이 사건에 책임을 지고 처형됐다고 한다.

소식통은 “이러한 비정상적인 사업방식이 비단 우시군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반에 퍼져 있다”면서 “그런데 국가에서는 언제나와 같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 하기보다 개인, 어느 일꾼의 문제로 책임을 떠넘기고 처벌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건에 대한 북한 당국의 대응 방식은 실제 주민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

어떤 주민들은 “새롭지도 않은 일을 가지고 이렇게까지 요란을 떨 일이냐”며 비판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하고, 어떤 주민들은 “당의 명령 지시를 관철하려고 하다가 재수 없게 개죽음을 당했다”면서 처형된 이들에 대한 측은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는 전언이다.

소식통은 “어떻게든 군량미를 무조건 보장하라는 당정책 관철을 위해 애쓴 일꾼들의 사업방식을 반인민적인 범죄 행위라고 규정하고 처형까지 했는데, 과연 앞으로 부족한 군량미를 주민들에게 더는 부과하지 않을 것인지 두고봐야 할 것”이라며 “죽이는 짓 좀 그만두고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주면 좋겠다는 게 모두의 바람”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