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 생일(1월 8일)을 계기로 특별경비를 실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김 위원장의 생일을 주민들에게 점차 국가적 명절로 인식시키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데일리NK 함경북도 소식통은 “원수님(김정은) 생일을 맞아 한 건의 사건 사고도 발생하지 않도록 인민반과 직장 등 모든 조직에서 경비를 강화하라는 중앙의 지시가 내려져 지난 7일 17시부터 9일 17시까지 특별경비가 진행됐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특별경비 기간 기관·기업소에서는 특별경비조를 편성해 일부 노동자들을 김부자 동상, 혁명전적지 및 사적지 경비에 동원했으며, 직장 내 경비 인원을 증원해 보안을 강화하는 조치를 취했다.
또 동사무소와 인민반들에서도 경비를 대폭 강화했다. 특별경비 기간에 반드시 2명씩 경비를 서도록 하고 순간도 자리를 비워서는 안 된다는 점이 강조됐는데, 평소에도 2인 1조 경비가 원칙이긴 하지만 실상 1명씩 교대 근무를 해왔기에 이를 특별히 강조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김 위원장의 생일에 즈음해 실시된 이번 특별경비는 김일성·김정일과 관련된 주요 국가 기념일에 버금가는 수준의 조치로, 이로써 점차 주민들에게는 김 위원장의 생일이 하나의 중요 명절로 인식되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실제 주민들인 특별경비 조치를 의아해하거나 크게 낯설어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의 생일이 공식 기념일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이미 내적으로는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이다.
소식통은 “주민들은 이번 특별경비에 별다른 거부감을 보이지 않았다”며 “오래전부터 주요 명절들에는 특별경비가 진행됐고 (1월 8일을) 자연스럽게 명절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 이런 조치를 익숙하게 여겼다”고 말했다.
그는 “비록 력서(달력)에는 빨간색으로 표시 안 됐지만 원수님의 생일이니까 그러려니 하는 분위기”라면서 “다만 특별경비가 실시되는 날이 하나 더 늘어난 셈이어서 주민들 입장에서는 즐거움보다 피로감과 불편함을 더 느끼는 게 사실”이라고 했다.
한편, 몇 년 전부터 간혹 김 위원장 생일을 기해 주민들에게 명절 물자나 선물이 공급됐던 것도 주민들이 기념일로 받아들이게 된 하나의 요인이 됐다.
이와 관련해 청진시의 30대 주민은 “1월 8일은 이제 명절처럼 여겨진다. 4월 15일과 2월 16일에만 주는 어린이 선물(당과류)이 1월 8일에도 공급되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가끔씩 이날 명절 물자까지 공급되면 더더욱 명절다운 느낌이 든다”고 했다.
올해 회령시에서는 4일부터 6일 사이에 0세 영유아부터 소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당과류 선물이 공급됐다고 한다. 명절 물자는 도당이나 시당 등 권력기관 간부들에게만 내려졌고 일반 주민 세대에는 공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명절 물자는 일반적으로 도(道)에서 자체적으로 마련해 주민 세대들에 공급하는데, 현재 함경북도의 재정이 넉넉지 않아 주민 세대에 대한 명절 물자 공급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게 소식통의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