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국가보위성이 최근 중국에서 활동하는 자국 무역주재원들에게 중국 측의 정보 수집에 대비해 개인정보 노출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활동하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일리NK 북한 내부 소식통은 16일 “국가보위성이 지난 7일 중국 주재 북한 외교공관 보위부를 통해 중국 베이징(北京)과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에서 활동 중인 주요 무역주재원들에게 개인정보 노출을 최대로 조심할 데 대한 지시를 내렸다”고 말했다.
국가보위성은 이번 지시를 통해 중국 국가안전부가 북한 무역주재원들을 비밀 조사 대상에 올려 조사하고 있다는 사실을 조용히 알리면서 신중하고 안전하게 활동할 것을 당부했다는 전언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국가안전부는 최근 베이징, 선양에서 활동하는 주요 북한 무역주재원들의 학력, 경력, 전직(前職), 가족관계, 해외 연락망, 경제적 상태 등 상세한 개인정보들을 수집하고 있다.
실제 소식통은 “국가보위성은 이번 지시에서 중국 국가안전부의 비밀 조사 범위를 구체적으로 언급했다”며 “특히 중국 국가안전부가 조선(북한) 무역주재원의 공식 업무뿐 아니라 비공식 지령과 사업 내용, 통화 기록, 활동 범위, 관심 분야를 면밀히 분석하고, 심지어 개인 계좌의 자금 상황까지 파악하고 있다는 내용을 전달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국가보위성은 중국이 (북한) 주요 무역주재원들의 겉으로 보이는 역할과 실지(실제) 활동의 차이를 매우 구체적으로 파악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보고 무역주재원들에게 보안 사항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고 했다.
중국 정보기관의 이 같은 움직임은 자국 내 활동 중인 주요 북한 무역주재원들의 활동을 철저히 감시해 국가 안보와 관련된 잠재적 위협을 차단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국가보위성은 무역 관련 국가 내부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올해 연말부터 내년 초까지 중국인과의 관계에서 신중을 기하고 모든 업무에서 보안을 철저히 지킬 것을 강하게 강조했다고 한다. 이에 베이징, 선양 주재 북한 주요 무역주재원들 사이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과 무역 거래 중인 한 중국인은 “한 조선 무역주재원은 위에서 지시를 받고 우리와도 멀리하고 있다”며 “또 평소보다 연말 활동을 축소하거나 사용하던 중국 휴대전화 번호를 교체하고 불필요한 연락처를 차단해 연락이 두절되는 경우들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 무역주재원들에 대한 중국의 정보 수집 움직임이 북한과의 경제 협력 및 외교 관계에 미칠 영향을 두고 북한 내부에서는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북한 내에서는 대외 무역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 의존하는 구조적 특성을 고려할 때 중국이 북한의 무역 활동을 체계적으로 통제하려 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소식통은 “국가보위성은 중국이 우리 국가(북한)의 세부적인 경제 활동 구조를 들여다보거나 통제하려 하거나 이들(무역주재원)을 중국 간첩으로 매수할 수도 있다는 신호로 보고 있다”며 “외교공관에서 활동 중인 보위원들에게 무역주재원들을 최대한 보호할 데 대한 지령도 내린 상태”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