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당국이 내부 주민들의 외부 정보 유입, 내부 정보 유출 행위에 촉각을 세우면서 그 매개체가 되는 중국산 휴대전화 사용 단속을 가일층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내부에서 중국 휴대전화를 구매하려는 수요는 끊이지 않고 있다.
15일 데일리NK 평안북도 소식통에 따르면 이달 초 신의주시 평화동에 거주하는 50대 남성 박모 씨(가명)가 불법 중국 휴대전화 판매 혐의로 평안북도 보위국에 체포됐다.
이번에 체포된 박 씨는 과거 중국에서 무역대표로 활동한 인물로, 북한으로 돌아온 뒤에도 중국 측과 지속 연락을 주고받으며 불법 송금은 물론 중국 측에서 요구하는 물건, 북한 내부에서 요구하는 물건을 몰래 보내주고 들여오는 일을 하며 돈벌이를 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 씨는 지난달 중국에서 몰래 밀반입한 휴대전화를 같은 지역에 살고 있는 외화벌이 종사자에게 팔았다가 그가 불법 중국 휴대전화 사용으로 도(道) 보위국에 단속되면서 연쇄적으로 붙잡히게 됐다고 한다.
박 씨의 체포로 현재 세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이들까지 모두 문제시되고 있는데, 이들이 모두 박 씨에게서 뇌물을 받고 단속·검열해야 할 물건들을 내보내거나 들여오는 것을 눈감아줬기 때문이라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소식통은 “국가의 강력한 단속으로 중국 손전화(휴대전화) 사용자가 상당히 많이 체포돼 중국 손전화 사용 행위가 한동안 주춤하기도 했으나 중국 손전화를 구입하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박 씨처럼 중국 측 무역업자나 중국인과 끈이 있는 사람일수록 그 수요가 높다는 게 소식통의 말이다.
소식통은 “중국에 대방(무역업자)을 가지고 사업하는 외화벌이 종사자나 화교들이 주로 중국 손전화를 사용한다”며 “심지어 단속이나 검열에 걸려 가지고 있던 중국 손전화를 몰수당한 이들도 시간이 좀 지나면 다시 중국 손전화 구입에 나선다”고 했다.
이어 그는 “실질적인 돈벌이를 위해 국가에서 금지하는 중국 손전화를 써야 하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며 “대부분은 권력자들과 얽혀 있어 단속을 피해 갈 수 있고 또 손전화를 뺏겨도 다시 중국 손전화를 구입해 활동하기 때문에 중국 손전화 사용 행위가 근절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당국은 무역기관 종사자나 중국을 드나드는 일부 한정된 인원들에게만 비공식적으로 불가피하게 중국 휴대전화 사용을 허가하고 있으나 반드시 보위부에 등록하고 사용 목적과 연락 상대의 신원, 사용 내역 등을 구체적이고 투명하게 밝히라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 사용 허가를 받은 무역기관 종사자들조차 당국이 모르게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불법 중국 휴대전화를 별도로 구매해서 쓰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한편, 체포된 남성은 현재 평안북도 보위국에서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