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주민 대부분이 영상 통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국의 감시 강화 분위기 속에서 자칫 단속에 걸릴까 봐 의식적으로 사용을 꺼린다는 설명이다.
25일 데일리NK 양강도 소식통은 “혜산시에서 손전화(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자료 전송 기능이나 화상(영상) 통화 기능을 아예 사용하지 않는다”면서 “감시가 심해진 상황에 맞게 최대한 단속에 걸릴 건더기를 만들지 않겠다는 것이 주된 이유”라고 전했다.
북한은 한동안 주민들의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휴대전화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파일을 전송하지 못하게 막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파일 전송 기능을 사용하는데 별다른 제한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주민들은 여전히 파일 전송 기능을 쓰지 않고 단순 통화나 오락용으로만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북한 당국이 개인의 파일 전송 내역 등을 모두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에 애초에 사용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이다.
특히 영상 통화는 통화료가 많이 드는 데다 기념비나 사적지 등 중요 장소에서는 하지 말아야 한다는 등의 제한 사항이 많아 자칫 잘못하면 단속에 걸려 화를 입을 수 있다는 생각에 사용을 꺼린다는 전언이다.
소식통은 “여기(북한)서는 생활에서 단속과 통제를 떼어놓을 수 없다”며 “검열에 걸려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한둘이 아니니 ‘단속될 건더기를 애초에 만들지 말자’라는 구호가 있을 정도”라고 말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과 물리적으로 가깝고 주민들의 외부 접촉도 상대적으로 잦은 국경 지역에서는 특히 단속 기관의 통화 도청이 수시로 이뤄지고, 길거리에서도 단속원들이 불쑥 나타나 휴대전화를 검열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벌어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주민들은 단속의 빌미가 될 수 있는 기능을 아예 사용하지 않으려 하는 분위기다.
소식통은 “사람들은 괜히 꼬투리 잡힐 만한 기능에는 관심조차 가지지 않는다”며 “통보문(문자)을 쓸 때도 쓰지 말라는 단어가 있는지 신경을 써야 하는 게 지금의 현실이니 차라리 이럴 바에는 손전화를 판매하지 말았으면 좋겠다는 말이 나올 정도”라고 했다.
한편, 이런 상황에 대해 일부 청년들은 불만을 토로하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혜산시 청년들 속에서는 “다른 나라는 손전화로 볼 것 다 보고, 하고 싶은 말을 다 해도 잘 살기만 하는데, 우리는 하고 싶은 말도 못 하고 살아가니 너무 불공평하다”, “나라에서 공짜로 준 것도 아니고 내 돈 주고 산 손전화조차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어 속에서 불이 난다”는 등의 말이 나오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