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중국 내 수산물 가공공장에 북한 여성 노동자들이 잇따라 파견되고 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북중 관계 악화로 중국 내 북한 노동자들의 대거 귀국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실상은 오히려 인원 확충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중국의 대북 소식통은 3일 데일리NK에 “지난 6월경 랴오닝(遼寧)성을 중심으로 조선(북한) 여성들이 수산물 가공공장에 대거 고용됐었고, 이후에도 많이 온 적이 있었다”면서 “대규모는 아니지만 여러 번 여성 인원들이 중국에 입국했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이어 “조선 여성 노동자의 (중국) 입국이 제한된 적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최근엔 심양(瀋陽), 대련(大連)은 물론이고 지린(吉林)성 연변(延边), 장춘(長春)과 더불어 광동(廣東)성 광주(廣州), 하남(河南)성까지 각지로 들어갔다”고 덧붙였다.
북한과 가까운 동북3성 지역은 물론 중국 본토 깊숙한 곳까지 북한 노동자들의 파견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인원 확충은 중국의 수산물 가공업체들의 저임금 노동 수요와 북한 외화벌이 목적이 맞물리기 때문이다. 외화벌이가 급한 북한이 지역 중국 공장 측과 임금 수준에 합의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곳으로 자연스럽게 인원 조동(調動)을 시도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특히 지난 2월 말 비영리 탐사보도 단체 ‘불법 바다 프로젝트'(Outlaw Ocean Project) 보고서를 바탕으로 중국 해산물 가공공장 내 북한 노동자 강제노동 실태를 폭로한 뉴욕커 보도 이후 관련 문제에 국제사회 관심이 고조되는 상황에서도 북한이 이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점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소식통은 “조선 측은 외화 확보를 위해 노동자 파견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라며 “이를 강제노동으로 규정하는 국제사회의 비판에 대해 조선 내부나 중국 노동 현장에서도 ‘자발적인 노동’이라 교육하고, 이를 개별 담화를 통해서도 조선 노동자들에게 주입하고 있다”고 했다.
그런가 하면 북한 당국은 노동자들의 숙식, 휴식 시간 등 근무 및 생활 여건 개선도 지속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국제적 제재와 압력, 비판 여론에 대응해 ‘우리는 원래부터 그런 적이 없다’라는 식의 대응 차원이라는 지적이다.
소식통은 “쉬는 날에는 절대 노동자들을 불러내지 말라는 점을 지속 강조하고 있다”면서 “다만 노동 조건 개선을 공개 발언으로 공식화하지는 않고, 오히려 노동자들에게는 ‘애국심 고취, 당에 대한 충성심, 외화벌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의 강연과 개별 담화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 노동자들이 중국에서 대거 귀국 중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소식통은 “일부 노동자들이 조선으로 귀국하는 움직임이 있을 뿐”이라면서 “오히려 조선의 국경 개방 이후 노동자 교체나 (중국으로의) 유입이 활발해진 상태”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그는 “조선은 여전히 노동자를 중국에 파견하고 외화를 벌어들이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서 “(북한) 내부적으로는 이를 위한 체계적 교육과 통제 강화에 관한 실무적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고 소개했다.
▶관련 기사 바로보기: 中 수산물 공장의 강공?…”北 20대 여성 노동자 대거 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