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수산물 가공공장의 강제노동을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랴오닝(遼寧)성 내 여러 공장에서 북한 노동자들을 대거 고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4일 데일리NK의 중국 현지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랴오닝성의 다롄(大連), 단둥(丹東), 후루다오(葫蘆島), 진저우(锦州), 판진(盤錦), 잉커우(营口)시 등지에 있는 여러 수산물 가공공장에서 북한 20대(代)의 여성 노동자들이 대거 유입됐다.
구체적인 인원은 확인되지는 않고 있지만 “최근 다롄시의 한 수산물 공장에 35명의 북한 여성들이 고용됐다”는 소식통의 발언을 놓고 볼 때 랴오닝성 전체에 최소 100여 명의 북한 노동자가 새로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유입은 지난 2월 말 중국의 해산물 가공공장의 강제노동 실태를 폭로한 뉴욕커 보도(비영리 탐사보도 단체 ‘불법 바다 프로젝트'(Outlaw Ocean Project) 보고서) 시점에 중국 측 요구로 이뤄졌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랴오닝성 공장들은 지난 2월 말 북한 노동자들을 대거 고용하겠다는 서류를 북한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신규 인력 송출을 제한하는 국제사회의 제재 결의안 2397호 및 강제노동 폭로에도 아랑곳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소식통은 “북한 노동자들은 주로 수산물 처리, 포장, 냉동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면서 “이를 두고 중국 공장 사업주들은 지역 수산물 가공과 유통 경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른바 3D 업종에 속한 업무를 북한 노동자들을 맡겨 생산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또한 저렴한 인건비도 중국 공장 측 입장에서는 운영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하게 하는 요소다. 심지어 “북한 노동자들은 닫힌 공장 구역 안에서 먹고 자며 수산물 가공에 전념할 수 있어 중국인 노동자보다 능률이 3배 높다는 지적도 있다“고 한다. 국제사회에서 지적하는 인권 유린적 측면도 경제적 요인으로만 평가하고 있다는 뜻이다.
북한 측에서는 노동자 송출이 ‘외화벌이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본지는 지난 4월 29일 북한 당국이 중국 측과의 비공개적인 협의를 통해 자국 노동자들을 해외에 지속 파견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관련 기사 바로가기: 中 수산물 공장 北 ‘노예노동’ 지적에 경제적 타격 최소화 사활)
또한 최근 들어서는 북한 당국이 자국 노동자들에게 “수산물 가공 작업은 조중(북중)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사업이기 때문에 성실하게 임하라”고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노동자 송출을 북한과 중국 간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