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말 평안북도 국경연선 압록강 유역 홍수 피해에 대한 북한 당국의 진상 조사 보고서에 중국과 공동으로 운영되는 수풍수력발전소의 관리 체계에 문제가 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내부 고위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지난달 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대규모 홍수 피해 지역을 둘러보고 신의주시에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22차 정치국 비상확대회의를 진행한 직후 홍수 피해 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 조직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중앙당 법무부가 중심이 돼 조사위를 관리하고 있으며 현재 조사위는 평안북도, 자강도, 양강도 등 북중 국경지역을 비롯한 전국의 주요 침수 피해 지역에서 홍수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나섰다는 전언이다.
또한 조사위는 지난 11일 1차 보고서를 제출했는데, 이 보고서에 수풍수력발전소 수문이 열리며 강물이 급격하게 불어나는 바람에 신의주시 상단리와 하단리의 제방이 무너지고 마을이 완전히 물에 잠겼다는 내용이 담겼다.
실제로 신의주시의 다른 지역은 발목 높이 정도만 물이 차올랐지만 상단리와 하단리, 류초리의 경우 마을 전체가 침수되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소식통은 “중국과 공동으로 운영되는 수풍수력발전소의 자동 수문 개방 체계에 문제가 없었는지 또 수문 개방 시기가 적절했는지에 대한 조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이와 관련된 내용이 1차 보고서에 적시됐다”고 전했다.
특히 조사위는 수풍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 중 20%만 북한에 공급되고 나머지 80%는 중국이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보고서에 명시하면서 국가의 이익적 관점에서 수자원 관리 문제도 이번 기회에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중국이 훨씬 더 많은 전력을 가져가고 있는 만큼 발전소 관리 책임도 중국이 더 많이 져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아울러 조사위가 작성한 1차 보고서에는 수풍댐이 물을 방류하더라도 수풍댐보다 하류에 위치한 중국의 태평만댐에서 한번 더 수량을 조절할 것이라는 안일한 생각이 홍수 피해를 키웠다는 점도 서술됐다. 평안북도 산하 비상재해위기대응 지휘조가 이 같은 판단을 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번 홍수로 무너진 상단리와 하단리 제방은 지난 6월 신의주시 대학생들에 의해 보수 공사가 진행했지만 평안북도의 자재 지원이 전혀 없어 형식적인 보수 작업에 그쳤다는 점도 조사 결과 드러났다.
소식통은 “이번에 무너진 제방은 지난 6월 대학생들이 도(道)의 자재 지원 없이 각자 가져온 마대에 흙을 넣어 마대뚝을 쌓은 뒤 잔디로 보강한 곳들”이라며 “임시방편으로 만든 제방이었으니 홍수에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다만 평안북도는 예상치를 뛰어 넘는 기록적인 폭우로 제방이 무너지고 침수가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홍수를 사전에 방지하기 어려웠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중앙당 법무부는 이달 말 조사위의 현장 조사가 완료되면 최종보고서에 홍수 피해 상황, 제방 붕괴 원인, 수풍수력발전소 운영 문제, 중국과의 전력 분배 및 수풍댐 관리 개선 방안 등을 담을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