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최근 수해를 겪은 북한에 구호물자를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종술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은 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대북 수해 지원 관련 브리핑을 갖고 “폭우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북한 주민들에게 깊은 위로를 전한다”며 “우리 측은 북한 주민들이 처한 인도적 어려움에 대해 인도주의와 동포애의 견지에서 북한의 이재민들에게 긴급히 필요한 물자들을 신속히 지원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그동안 정치·군사적 상황과 관계없이 대북 인도적 지원은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해 온 만큼, 홍수 피해가 발생한 북한에 도움의 손길을 내민 것이다.
박 사무총장은 “지원 품목, 규모, 지원 방식 등에 대해서 북한 적십자회 중앙위원회와 협의할 준비가 돼 있다”며 “조속한 호응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근 평안북도와 자강도를 비롯한 북한 북부 국경 지역에서는 폭우로 압록강이 범람해 주택과 농경지가 물에 잠기는 등 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등 북한 매체는 평안북도 신의주시와 의주군 등에서 수해로 5000여 명이 고립됐다가 약 4200명이 구조됐으며, 4100여 세대에 달하는 살림집과 근 3000정보의 농경지를 비롯해 수많은 공공건물과 시설물, 도로, 철길들이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고 전한 바 있다.
북한은 그 외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밝히지 않고 있으나, “용납할 수 없는 인명피해까지 발생”했다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언급(7월 29~30일 당중앙위원회 제8기 제22차 정치국 비상확대회의)에 미뤄 적잖은 인명피해 또한 발생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수해 지원 발표 배경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피해 규모가 상당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제안하게 됐다”며 “(지원 품목은) 이재민들에게 긴급히 필요한 비상식품, 의약품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인도적 위기 상황에 대해서는 정부가 언제든지 인도적 지원에 열려있다는 입장을 지속 표명해왔다”며 “우리 측 제의에 호응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남북 간 소통 채널이 모두 닫혀 있는 데다 북한이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측의 제안에 호응해올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