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어제부터 24시간 경계 태세 돌입…전역이 푸틴 맞을 준비

평양 순안공항 일대 군병력 투입돼 도로 통제…평양 출입 단속 강화되고 일시적 시장 폐쇄 명령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9월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노동신문·뉴스1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북한 당국이 평양을 비롯한 주요 군사 지역에 특별경비주간을 선포했다. 이 밖에도 당국은 북한 전역에 군사적·행정적 지시를 내리는 등 푸틴 대통령을 맞을 준비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복수의 데일리NK 북한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수도 평양과 국경 지역에 13일 저녁 7시를 기해 특별경비주간을 선포했다.

내부 군(軍) 소식통은 “어제(13일)부터 (남북) 접경지역에 주둔한 전연(전방)군단에 경계 태세 강화 지시가 하달됐다”며 “이와 함께 적들이 도발이 감지된 경우 선(先)보고 후(後)명령이 하달될 때까지 어떠한 대응도 하지 말고 대기하라는 지시도 하달됐다”고 전했다.

중국과 맞닿은 북한 북부 국경 지역의 국경경비대에는 근무조마다 실탄 3발이 지급되는 등 현재 경계 등급이 격상된 상태로 전해졌다.

또 북한 당국은 푸틴 대통령의 전용기가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평양 순안국제공항 일대에 군병력을 투입하고 24시간 경계 태세에 돌입했다.

이와 더불어 순안공항에서 평양시 중심구역으로 들어가는 주요 도로의 출입도 통제하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순안공항에서 평양 시내로 연결되는 고속도로는 봉쇄된 상태고, 평양 외곽에서 중심구역으로 들어가는 입구인 서성구역 연못동 3대혁명전시관 앞 도로까지 일반 차량의 이동이 제한되고 있다.

이 외에도 푸틴 대통령 방북과 관련한 다수의 행정·사법 명령이 내려졌다는 전언이다.

우선 북한 당국은 13일 이후 다른 지역 주민들이 수도 평양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평양시를 출입할 때 필요한 승인번호 발급도 중단했다고 한다. 승인된 공무 이외에 사적인 목적으로는 평양시를 출입할 수 없다는 얘기다.

그런가 하면 각 지역 인민위원회는 인민반에 등록된 거주자 이외에 타지에서 유입된 인원이 없는지 감시를 강화하고 인민반이 안전원과 함께 숙박검열을 수시로 진행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도 알려졌다. 타지에서 허가 없이 들어온 주민이 있지는 않은지 불시에 검열을 실시하라는 것이다.

푸틴 대통령 방북 기간에는 평양시 전역의 시장도 폐쇄될 것으로 보인다. 평양시 인민위원회 상업부는 상부의 명령이 떨어지는 시점부터 일시적으로 평양시 전역의 시장을 폐쇄한다고 밝힌 상태다. 푸틴 대통령 환영 행사에 평양 시민들을 동원하기 위해 임시로 시장을 폐쇄하려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뿐만 아니라 현재 평양시 안전부는 24시간 비상 체제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역전, 시장, 골목 등에서 꽃제비(부랑자), 거동 수상자 등을 발견하면 강제 연행해 감금하고 있다고 한다.

안전부가 이들을 어느 곳에 가둬놓고 있는지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지만, 푸틴 대통령 방북 기간에 평양 시내를 돌아다니는 부랑자가 눈에 띄지 않도록 이 같은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