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현재 중국에 체류 중인 자국 노동자들을 소환하고 새로운 인력을 파견할 준비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중 양국이 인력 교체에 합의한 것은 물론이고, 노동자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를 강화하는데도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파악된다.
6일 중국의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내 북한 영사관은 최근 북한 노동자들을 채용한 중국 기업과 북한 노동 인력을 관리하는 무역회사에 ‘앞으로 북한 노동자를 채용하려는 중국 공장이나 기업은 허가를 받고 경제개발구 내로 작업장을 이전해야 한다’는 내용의 지시 사항을 전달했다.
현재 대다수의 북한 노동자들은 단둥변경경제협력단지(丹東邊境經濟合作區), 임항산업단지(臨港産業園區), 둥강경제구(東港經濟區) 등에 소속된 공장에서 일을 하고 있고, 단지 내 기숙사에서 집단생활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북한 노동자들은 중국이 허가한 경제개발구가 아닌 대도시 외곽의 작은 소도시에 위치한 공장에 20~30명 소규모 단위로 파견돼 그곳에서 생활하며 일하고 있다.
북한 인력을 관리하는 중국 내 북한 무역회사들은 중국 기업에서 일감이 들어오면 요청에 맞게 중국에 나와 있는 인원 중에서 작은 공장에 파견할 노동자들을 다시 선발하는 것이 관례였다.
그러나 노동자들이 소규모 단위로 소도시에서 생활할 경우 이들에 대한 관리와 통제가 쉽지 않다고 한다.
경제개발구 내에서 기숙사와 공장만 오가는 생활을 하는 노동자들과는 달리 소도시에 파견돼 소규모로 생활하는 노동자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외출하기도 해서 주거지 이탈이나 탈북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더욱이 이들을 통해 북한 노동자들의 노동 환경을 포함한 내부 정보가 유출되는 일도 발생하고 있어 국제사회의 감시와 비판을 피하기 위해 북한 당국이 이러한 방침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다만 중국 내 경제개발구는 중국 지방 정부가 관리하고 있어 해당 방침은 북한 당국 혼자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즉, 중국 지방 정부와 북한 당국 양측이 합의하에 관련 방침이 마련된 것이라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소식통은 “중국 지방 정부 입장에서는 경제개발구에 입주하는 기업이 많을수록 임대료나 세금을 확대할 수 있고, 조선(북한) 노동자들을 집단적으로 통제할 수 있어야 국제사회의 눈을 피하는 데 유리하다고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빠르면 오는 3월 현재 중국에 체류 중인 노동자들의 송환이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노동자들이 버스 등으로 귀국할 수 있도록 3월 중순경 북한 신의주와 중국 단둥(丹東)을 잇는 육로가 개통될 수도 있다는 게 소식통의 말이다.
특히 북한 당국은 현재 중국에 체류 중인 자국 노동자 전원을 본국으로 소환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노동자들의 해외 파견 기간을 대개 3년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코로나 봉쇄로 인해 귀국하지 못하고 6년 이상 중국에 체류 중인 인원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 기업으로서는 숙련된 북한 노동자들이 송환되고 새로운 인력이 파견될 경우 교육에 시간과 자본을 추가로 투입해야 하지만, 값싼 북한 노동력에 대한 이점이 더 크다는 판단에 따라 대부분 이를 감수한다고 한다.
소식통은 “노무자(노동자) 문제는 (북·중) 양측의 수요가 맞아 떨어지는 사안이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인력 교체를 하려 한다”며 “다만 코로나 문제 때문에 시기가 명확하게 정해지지는 않았고, 적절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곧바로 노무자들을 교체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