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위성, 양강도 보위사업 검열 중…작년보다 규모 커

국경 지역 보위부 부정부패, 비리 등 중점 들여다 봐…내부정보 유출 문제 중요시

북한 국경 지역의 보위부 청사. /사진=데일리NK

북한 국가보위성이 양강도 보위기관을 대상으로 검열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3일 데일리NK 양강도 소식통에 따르면, 국가보위성은 지난달 중순부터 양강도 보위기관들의 보위사업과 관련한 검열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검열은 양강도 보위국 각 부서와 혜산시, 삼지연시 등 국경 지역 주요 시·군 보위부들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특히 국가보위성은 양강도 보위국 반탐과와 주요 국경 지역 담당 보위원들의 부정부패, 비리, 유착 관계를 핵심적으로 검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대한 죄를 범한 돈주나 불법 중국 휴대전화 사용자들에게서 돈을 받고 무마해주거나 보위부 내부 또는 그 외 국내 기밀자료나 문서를 유출하지는 않았는지를 중점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국가보위성은 북한 내부 소식이 국경 지역 주민들이나 해외 파견된 노동자 또는 유학생 등을 통해 외부에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북한에 남아 있는 탈북민 가족이나 탈북민 가족에게 돈을 전달해주는 송금 브로커를 통해 내부 소식이 외부로 가장 많이 흘러나가고 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이런 정보 유출이 대부분 국경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보위성은 국경 지역을 담당하는 보위기관들의 보위사업에 대한 검열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국가보위성은 이번 검열을 통해 국경 지역 보위기관들의 내부 기강을 다잡는 한편, 내부정보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국경 지역 주민들의 움직임을 항시적으로 감시하고 색출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2018년에 입국한 한 탈북민은 본보에 “코로나 사태 후 탈북민들이 북한에 남아 있는 가족과 연락하는 회수가 코로나 이전보다 상당히 줄었고, 심지어 수년간 통화를 하지 못한 탈북민들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탈북민은 “코로나 사태 후 가족과의 연락을 포기했다”면서 “보위부에 잘못 걸려들면 더 큰 봉변을 당하기 때문에 국경 정세가 완화될 때까지는 연락을 안 하는 것이 가족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국가보위성은 이번 양강도 보위기관 검열에서 불순분자 숙청사업, 내부정보 유출자 체포 및 처벌 결과를 파악하고 그 과정에 비리가 없었는지를 꼼꼼히 들여다보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소식통은 “국경 지역 보위부에 대한 국가보위성 검열은 해마다 진행되지만, 이번 검열 규모부터가 지난해보다 1.5배 크고 중앙에서 검열 내려온 성원들도 때 묻지 않은 30, 40대 젊은 사람들이어서 간부들마저 진땀을 빼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보위성의 이번 양강도 보위기관 검열은 올해 말까지 진행된다고 소식통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