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상하수도 수질검사 결과 음용 부적합 판정…전염병 우려 확산

상하수도 노후화·정수용 자재 부족 등 과제 산적…근본 대책은 내놓지 못한 채 "물 끓여 마셔라"

소독하고 있는 북한 방역요원들. /사진=노동신문·뉴스1

최근 북한이 상하수도 수질검사를 진행한 결과 일부 지역에서 음용 부적합 판정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내부에서는 수인성 질병이 더욱 확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북한 내부 소식통은 20일 데일리NK에 “최근 평안남도와 황해남북도 방역 기관에서 상하수도 및 지하수, 강, 하천 등의 수질검사를 했다”며 “식수로 이용 가능한 물이 10%로 안 되는 등 말을 못 할 정도로 참혹한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상하수도 오염 문제가 정말 심각하다는 점이 재차 확인된 것”이라면서 “이 때문에 (수인성) 질병이 더욱 확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더욱 안타까운 사실은 식수로 이용하기 위한 (정수용) 소독약이 없다는 점”이라면서 “소독시설이 노후화돼 현재로서는 그 어떤 대책도 세울 수 없는 형편”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북한 황해남도와 평안남도 등에서는 지난달부터 수인성 질병인 급성 장내성 전염병이 확산한 것으로 알려졌다.(▶관련 기사 바로가기: 평안남도서도 급성 장내성 전염병 확산 중… “오염된 물이 원인”)

이런 가운데 북한 당국은 수질검사를 통해 물의 오염도가 심각하다는 점을 확인했으나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상하수도 노후화, 정수에 필요한 자재 부족, 전력난 등 난제가 산적해 있지만, 문제 해결은 요원한 상황이라는 전언이다.

소식통은 “당과 방역 기관에서는 생활오수와 오물을 철저히 방역 규정대로 처리하도록 감독·통제하고 있다”면서 “가정들과 어린이 보육 교양 기관, 급양봉사 기관, 건설장 등에서 반드시 물을 끓여 마시는 대책을 강제하고 있다”고 했다.

이에 주민들은 당국이 기반시설 정비 등 제대로 된 대책을 내놓지 않은 채 방침만 강요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주민들 사이에서는 당국이 최근 발생한 수인성 질병의 원인을 주민들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온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소식통은 “수원지, 우물 등에서 수질검사를 했으면 주민들에게 위생 안전이 담보된 물을 공급하는 게 당과 정부가 해야 할 일인데 그마저도 주민들의 몫으로 떠넘기고 있다”고 말했다.

더욱이 그는 “전염병 사태가 마치 사람들의 위생 지식수준이 낮아서 벌어진 것처럼 강연만 해대고 있다”면서 “(위에서는) 주민들이 무식해서 아프다고 노골적으로 이야기하고 있어 불편해 하는 반응이 대부분”이라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