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노동신문이 최근 유례없는 가뭄과 최대비상방역 위기 속에서도 모내기를 적기에 결속(완료)했다고 주장한 가운데, 정작 일부 지역에서 처벌을 우려해 중앙에 허위 보고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21일 데일리NK 평안남도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사태는 이달 초부터 시작됐다. 내각 농업위원회는 당시 전국적인 ‘모내기 전투’ 정형(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각 도에 상황을 수시로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15일까지 모내기 끝내라는 당부도 이어졌다. 표면적으로는 상황 파악 및 독려로 보이지만 그동안 북한의 행태로 볼 땐 ‘만약 제때 임수를 완수하지 못할 경우 혹독한 처벌이 각오하라’고 으름장을 준 셈이다.
당연히 각 도에서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고, 오랜 논의 끝에 100% 끝내지 않은 상황에서도 거짓 보고를 하자는 식으로 결론을 도출한 곳도 있었다고 한다.
예를 들면 평안남도는 지난 9일 중앙에 모내기 결속을 보고했다. ‘5일 정도 더 하면 끝날 것 같으니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내부 판단이 작용했다.
하지만 현장 상황은 이보다 더 처참했다고 한다. 5일 만에 끝내라는 느닷없는 지시에 평남 문덕군, 숙천군, 평원군에서는 밤에 횃불을 지펴놓고 주야(晝夜)로 모내기를 다그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소식통은 “(중앙에서는) 15일까지 다 하라고 했지만, 아직도 모내기를 끝내지 않은 곳이 있다”면서 “물과 인력은 물론 기름도 부족한데 어떻게 빨리 결속될 수 있겠냐”라고 반문했다.
이와 관련 올해 초 북한 당국이 황해남도 다음가는 곡창지대인 평안남도엔 당(黨)의 배려와 비상방역지휘부의 특단 조치로 이앙기 100여 대가 공급됐지만, 연유(燃油) 값이 오르면서 이조차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고 한다.
각 도의 보고에 북한 당국은 ‘양심적으로 했는지는 가을걷이에서 나타날 것’ ‘그때 가서 오지게 총화하겠다’고 강조하면서도 ‘올해 알곡 생산 목표를 점령하지 못하면 몽땅 책임질 줄 알라’고 엄포도 놓았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한편 이런 와중에 평안남도는 “이후 전기가 보장되지 못하면 논에 물 대는 일이 어려워 소출이 적게 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 “애로를 풀어달라”고 당국에 호소했다고 소식통은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