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가 도내 기업소들의 부업용 땅 일부를 회수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20일 데일리NK에 “함경북도 당위원회는 이달 초 도내 기관 기업소들에서 식용유 및 종이 원료기지로 가지고 있던 부업밭을 전부 조사하고 경우에 따라 얼마 정도는 회수해 농장들에 넘기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회수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기관 기업소들의 부업지는 도당이 이미 수년 전에 도내 주민들의 식용유 보장 문제를 해결하려 해바라기, 깨, 콩 등의 원료기지나 종이 원료기지로 쓰도록 승인하고 떼어준 곳이다.
그런데 올해 경작지를 2배 늘리고 이모작을 해 알곡 생산량을 늘리라는 국가적 지시에 따라 늘린 토지를 보고해야 하고 가을에 가서 그에 따라 늘어난 생산량도 보고해야 해 부업지 절반가량을 회수해 농장들에 넘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소식통은 “기관 기업소들의 부업밭을 절반 정도 남겨놓은 이유는 먹는 기름 생산과 종이 원료같은 공업용 자재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타산 끝에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도당의 이 같은 결정에 기관 기업소들은 ‘부업지용 땅이 본래 국가 소유 토지지만, 기업소에도 필요한 토지인데 이것까지 빼앗아가는 이유를 모르겠다’, ‘정책이 매일 뒤바뀌니 도대체 뭐하자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아우성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관 기업소들은 국가가 배급을 풀지 못하고 여러모로 어려울 때 부업지에서 생산한 알곡이나 여러 작물로 국가건설 지원이나 명절 물자 공급 등 후방사업을 해결해왔는데 이렇게 회수해가니 황당하기 짝이 없다며 허망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기관 기업소들은 국가로부터 받은 부업지 뿐만 아니라 인근 척박한 땅을 개간해 경작지를 최대한 늘여온 것으로 알려졌으나 농사가 잘되는 질 좋은 토지는 전부 빼앗기고 농사가 잘 안되는 땅만 남아 낙심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소식통은 “도당은 당장 낟알을 박을 시기에 땅을 빼앗고 회수한 땅에 늦강냉이를 심을 방침이라면서 땅 회수작업을 다그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상황을 지켜본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는 ‘농사에 집중하고 먹는 문제를 풀려는 국가와 당의 의도는 좋지만, 배급도 안 주면서 공장에 필요한 토지조차 빼앗아 농장에 소속시키는 것은 공업을 소홀히 하는 태도다’, ‘원료는 손바닥으로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냐’며 비판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