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류 결정에도…전방에 발령 ‘1호 전투근무체계’ 해제無

소식통 "별다른 지시 없어...총참은 오히려 '격동태세 유지' 강조"

북한특수부대
북한군 특수작전부대원들이 백령도·대연평도로 가정된 섬에 침투하는 장면. /사진=노동신문 캡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3일 진행된 당 중앙군사위원회 예비회의에서 ‘대남(對南) 군사행동계획 보류’ 결정을 내렸지만, 전연(전방) 군단에 발령된 ‘1호 전투근무체계’는 아직 해제되지 않고 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내부 군 소식통은 24일 데일리NK에 “위(상부)에서 해제와 관련된 별다른 지시가 내려오지 않았다”면서 “이에 각 군에서는 격상된 전투근무체계에 맞게 훈련과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21일 오후 5시부터 실제 총참모부는 전연 지역의 육, 해, 공군 군단, 사령부들에 1호 전투근무체계 실시를 명령했다. 여기엔 육군 1, 2, 4, 5군단과 해군 1, 2, 4, 5(동해함대 소속), 8, 12, 10, 11(서해함대 소속)전대들이 포함됐다. 공군 및 반항공군은 추격기 전단들만 1호 전투근무체계에 돌입했다.

1호 전투근무체계가 유지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소식통은 일단 김 위원장이 대남 군사행동의 완전 백지화가 아닌 ‘보류’를 명령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언제든 군사행동을 취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는 점에서 북한 당국의 입장에서는 전연 군단의 준비 상태가 여느 때보다도 중요하지 않겠냐는 것이다.

또한 ‘내부 군의 사기 저하’ 부분을 소식통은 주목했다. 근무체계 격상은 긴장감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군 사기를 진작시키겠다는 건데, 사흘 만에 바로 해제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소식통은 “무력 최고사령관이 결심만 하면 언제든 적들을 무찌를 수 있게 격동태세를 유지하라는 게 총참의 지시”라면서 “이 기세로 오는 2기전투정치훈련(하계훈련, 7월 시작)에 진입해야 하는 건 달라지지 않았다고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후방 부대엔 1호 전투근무체계가 애초에 발령되지 않았다. 다만 전연 부대들의 1호 전투근무체계 격상에 맞춰 하계훈련 준비 및 일상근무를 경각성 있게 수행하라는 지시가 하달된 상태다.

◆1호 전투근무체계=언제든 전쟁이 일어나면 전시태세로 전환할 수 있는 작전근무체계를 말한다.

여기서 ‘1호’를 사용한 것은 말 그대로 무력 최고사령관인 김정은 위원장의 강력한 의지를 담아 실전에 버금가는 근무체계를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최고사령부나 총참모부에서 하달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때문에 무력 최고사령관만이 하달할 수 있는 ‘전시체계’ ‘준전시체계’ 등과 구별된다. 다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총참모부가 내릴 수 있는 평시 상태의 최고 높은 단계의 근무태세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