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정 통일부 장관(사진)이 10월 2일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에서 납북자 생사확인 문제가 의제로 설정될 수 있도록 노무현 대통령에게 강력 건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장관은 29일 오후 삼청동 남북회담사무국에서 납북자가족협의회의 이옥철 회장과 비공개 간담회 자리에서 “북한에서 납북자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다보니 어려움이 있다”고 호소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나 납북자 송환에 대해서는 달리 언급을 피했다.
이 회장은 간담회 후 데일리NK와의 전화통화에서 “이 장관이 ‘적어도 납북자 생사확인은 돼야 하는데 북측이 해주지 않아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이날 간담회는 통일부가 납북자 가족들이 보상액수 등의 문제로 반발해온 전후납북자 피해보상법 시행령에 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했다.
간담회에는 납북자가족모임(대표 최성용)과 납북자가족협의회, 피랍탈북인권연대(대표 도희윤) 등 3개 단체가 초청됐으나, 가족모임과 인권연대측은 공청회를 방해한 납북자가족들에 대한 통일부의 고소 등을 이유로 참석을 거부했다.
3개 단체 중 간담회에 응한 이 회장은 “이 장관이 ‘다른 문제를 떠나 가족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싶었는데 이를 거부해 안타깝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통일부는 지난달 27일 열릴 예정이던 보상법 시행령 공청회를 방해한 납북자가족모임 관계자 11명을 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지난 8일 검찰에 고소하는 등 이례적인 강경대응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이 장관은 35년 전 납북됐던 남편의 사망소식을 듣고 실의에 빠져 27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유유봉(70세) 할머니 소식에 대해 “참 안다까운 일”이라고만 짧게 언급했다고 이 회장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