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중심적 통일론, 약화될 개연성 높다”

한반도의  통일을 위해 더 이상 단일민족을 강조하는 등의 민족적 특수성을 내세워서는 안된다는 주장이 24일 제기됐다.


이날 박명규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장은 흥사단 주최의 ’21세기 통일한반도 시대를 위한 통일방안의 재구성’ 조찬 포럼에서 “탈민족적인 경향을 한반도 통일과 연관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소장은 포럼 발표자로 나서 “통일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이 약화된 이유는 무엇보다도 한국사회가 다원적인 사회로 변모했다는 것”이라면서 “특히 한국사회가 인종적으로 다원적인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는 것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미 수십만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사회 내에 정착했으며 국제결혼이 보편화되었을 뿐 만아니라 그 자녀들이 새로운 세대의 한부분을 구성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는 고전적인 ‘민족’중심적 통일론은 점차 약화될 개연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박 소장은 이 같이 한반도에서 다문화 집단의 비율이 커질수록 북한문제와 통일에 대한 접근방식을 달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21세기 한반도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통일국가는 다양한 사회구성원이 공존가능한 복합적 정치공동체여야 하며 이들을 한데 묶는 통합원리도 사회경제적 연대와 민주적 결합원리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따라서 남북한 간의 통일이 우리 사회 안에 있는 다양한 소수자나 비한국계 거주자들에게도 부담스럽지 않게 다가올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 방안으로 “통일국가가 내부적으로 매우 유연하고 열린 형태의 정치 공동체가 되어 경제, 사회문화, 정치 영역에서의 경계설정·통합범위 등에서 복합적이고 열린 단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통일은 남북 민족 뿐만 아니라 해외의 한인 및 혈통이나 문화를 달리하는 사람들, 주변국에도 새로운 활력과 신뢰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