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2002년 日人납치 인정은 보상금 100억달러 때문”

북한이 기존 ‘납치자는 없다’ 입장을 바꿔 2002년 일·북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납치를 인정한 것은 일본으로부터 보상금 100억달러를 받기 위한 것이었다고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장철현 선임연구위원이 주장했다.

14일 산케이(産經)신문에 따르면 지난 12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 심포지엄에서 장 선임연구위원은 2002년 일·북 정상회담 직후 배포된 북한 통일전선부 간부용 강연자료에 “‘납치를 인정하면 일본 정권이 북한에 100억달러를 지불키로 했다’고 쓰여져 있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어 “납치자의 일본 인도가 아니라 납치 인정만으로 일본 통치에 대한 보상금 100억달러를 지급키로 했다고 들었다”고 밝혔다.

북한 조선노동당 대남공작기관인 통일전선부 출신인 장 선임연구위원은 “한국과 일본이 김정일 독재 체제에 대해 오해하고 있다”며 “조직지도부, 선전선동부, 통일전선부, 당 군사부, 국가보위부 등 주요 부서의 부장은 모두 공석으로 이런 핵심부서는 김정일 위원장이 부장을 겸임·장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한국과 일본에는 ‘북한에서 온건파와 강경파가 대립하고 있다’는 등의 보도가 있지만 이는 있을 수 없다”며 “북한은 사회주의 형식을 갖고 있지만 철저한 개인독재로 (내부 권력) 투쟁은 절대 불가능하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장 선임연구위원은 김정일의 최측근으로 이제강과 이용철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들과 장성택 행정부장 등 3명을 꼽았고 “김일성 주석이 사망했을 당시에는 이미 김정일 독재가 시작됐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정일 위원장이 사망해도 그런 후계체제는 없다”며 “(김정일 사후) 권력 공백이 생길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북한은 2002년 고이즈미 전(前)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일본이 주장해 온 10명의 납치피해자 가운데 4명이 생존해 있고, 6명은 사망했다고 확인해 줬다. 또, 일본측이 요구하지 않은 일본인 행방불명자 1명이 살아있고, 2명이 사망했다고 추가 정보까지 제공한 바 있다.

그 결과 2002년 10월 납치생존자 5명이 일시 귀국 형식으로 일본을 방문했으나 북한으로 돌아가지 않았고, 일본은 2004년 5월 2차 일·북 정상회담에서도 2002년 귀국한 하스이케 가오루 씨 부부와 지무라 야스시 씨 부부의 북한 잔류 자녀 5명을 데려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