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북중 지역에서 중국 손전화(휴대전화)를 사용하다 자백한 주민을 더 혹독하게 조사하는 사례가 포착되고 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당국이 용서 조건을 내세웠지만 정작 현실에서는 제대로 반영되지 않으면서 정책에 대한 신뢰가 또 추락하게 됐다.
28일 데일리NK 양강도 소식통에 따르면, 이달 들어 혜산시에서만 7명의 주민이 중국 손전화를 바치는 형태로 시(市) 보위부에 자수했다. 이는 당국이 지속 관대 정책을 내세운 결과다.
이와 관련 북한은 올해 들어 지속 ‘자수‧자백’을 강조하고 있다. 코로나 시대 방역수칙 위반자뿐만 아니라 불법선전물이나 콘텐츠 소지자 등 이른바 반사회주의‧비사회주의에 저촉된 주민들도 스스로 죄를 인정한다면 이를 ‘백지화’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탈북, 정보유출입, 도강, 밀수 등 북한 당국이 비법(불법)으로 규정한 행위를 사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국 손전화 사용자에도 이 같은 전략을 적극 사용해왔다.
특히 이달 초부터는 담당 보위원들이 인민반 세대들을 직접 다니면서 ‘이번이 마지막 기회다. 내년부터는 곧바로 교화소로 보내거나 총살을 당할 수 있다’는 식으로 협박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회유와 협박을 동시 구사하는 전략이다.
아울러 최근 혜산시에서 양강도 보위국의 비호를 받던 거물급 송금 브로커의 가택 수색과 체포 소식이 전해진 것도 자수 분위기 조성에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중앙 국가보위성, 양강도 보위국 비호받던 거물 브로커 체포)
그러나 보위 당국은 용서가 아닌 ‘치밀한 재조사’에 더 방점을 두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른바 “한 번 맛을 본 사람은 반드시 그 곬을 따라간다”는 인식이다.
실제 “자수하는 척하지 말고 숨겨놓은 나머지 손전화와 돈을 가지고 와야 진짜 자백이다”면서 자택 수색도 감행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최근 혜산에서 자수한 7인도 현재 보위부 구금소에서 집중 조사를 받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어차피 보위부 명단에 들어가 있는 대상이었는데, 자수하는 척을 하려다가 정말로 잡혀 곤혹을 치르고 있다”는 것이다.
이어 소식통은 4차 전원회의 개최 전(前) 실적을 올리기 위한 전술일 가능성이 있다면서 “5만 위안(한화 약 930만 원) 이상을 뇌물로 바쳐도 빠져나오기 힘들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