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의 잠수함·SLBM 개발 집착서 드러난 北 체제의 민낯

[북한비화] 봉대보일러 공장에 전방위 물적 지원 보장...노동자들 인권 보장은 없었다

김정은_잠수함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신형잠수함을 시찰했다고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사진=노동신문 캡처

“수중간 탄도로케트(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를 탑재한 우리(북한)식의 잠수함을 건조해 실전 배치함으로써 그 어떤 경우에도 다기능 발사능력을 갖춘 해군 무력 완성에 초집중해야 한다.”

데일리NK 소식통에 따르면, 이는 2013년 9월 29일 봉대보일러 공장(함경남도 신포시 륙태동 소재)에 하달된 김정은의 내적 지시다. 그러면서 김정은은 이곳을 연합기업소로 승격시키고 바로 1급기업소로 명명한다는 방침도 하달했다.

전반적으로 힘을 실어주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도 바로 중요 기업소로 지정하는 파격을 선택한 셈이다. 왜 이런 모습을 보이게 된 걸까?

일단 이 공장의 실체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봉대보일러 공장은 명칭과는 달리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군수공업부 제2경제위원회 소속으로 북한의 수중, 수상함선뿐만 아니라 잠수함과 탑재 무기를 생산·가공하는 곳이다.

결국 집권 1년차에 접어들던 김정은이 비대칭전력 중 하나인 SLBM 개발과 잠수함 건조로 북한해군 무력을 강화해야 할 절박성을 느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끊임없는 핵실험을 통해 핵무기 완성을 선포했던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김정은의 구상에 봉대보일러 공장은 이전보다 규모를 확장(11→26개)했고, 인원도 대폭 확충(7000→1만 5000명)했다. 즉, 연합기업소 형태로 잠수함 건조(23개 공장)와 발사체 생산 공정(3개 공장)에 주력할 기반을 구축했던 것이다.

또한 인재 양성 시스템도 간과하지 않았다. 연합기업소 내 신포공업대학 분교 설립을 허가하고, 또한 공업대학 교수를 적극 초빙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교에 선박건조설계학과, 선박동력장치설계학과, 선박전기설비설계학과, 수상함건조운영전공학과, 잠수함건조전공학과, 약전학과, 컴퓨터학과, 발사체설계전공학과를 설립, 연합기업소에 필요한 생산 및 기술공정 인재들을 육성토록 했다.

이뿐만 아니라 신포 선박연구소 연구진(약 500명)이 연합기업소 잠수함 및 SLBM 연구시험 및 생산공정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에 적극 협력하라는 지시도 하달했다.

또한 북한 당국은 이곳의 잠수함 및 무기 개발 프로젝트 때 연구진이 부족할 경우, 돌격대를 파견하는 것처럼 다른 연구소 인력을 무조건 임시 조동(調動)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했다고 한다.

특히 재정적 지원도 적극 보장하는 형태를 갖췄다. 매년 이 연합기업소에 막대한 군사비를 투자하겠다는 약속을 했다는 것이다. 비대칭전력 구축이라는 목표 달성에 물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 막대한 지원에 정작 공장 노동자들은 포함되지 않는다. 1급 연합기업소로 승격됐지만 그들의 생활 환경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월급(최대 4000원)으로는 이발을 한 번 할 수도, 쌀 1kg도 살 수 없는 수준이다. 배급 형태로 콩과 쌀, 기름, 작업복 등이 지급되지만, 이것으로는 가족을 충분히 먹여 살릴 수 없는 것이다.

여기에 출근을 하지 않고 장사를 하는 경우 바로 무단결근으로 처리된다. 심지어 ‘국방공업발전을 저해하는 반당적 행위’로 비판받기 일쑤다. 김정은의 관심이 노동자들에겐 오히려 ‘언제든 추락할 수 있다’는 정신적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노동자들은 말한다. ‘잠수함생산에 들어가는 자금의 0.1%만 돌려도 우리 생활은 넉넉해질 수 있다’고. 하지만 상부에 대놓고 이런 의견을 표출하지는 못하고 있다. 정치적 보복이 두렵기 때문이다.

이처럼 인간의 행복 추구 권리를 빼앗고 충성심과 애국심으로 포장한 노동 강요는 봉대보일러 공장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것이 바로 인민 생활 개선보다는 각종 무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김정은 체제의 자강력, 자력갱생의 민낯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