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국가보위성이 지난달 열린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2차 전원회의 확대회의 이후 중국 휴대전화 사용자들을 “남아 있는 잔뿌리”로 규정하며, 강력한 소탕전을 벌일 것을 국경 지역 보위부들에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4일 데일리NK 함경북도 소식통은 “지난달 말 회령시를 비롯한 함경북도 국경 지역 보위부들에 ‘잔뿌리 소탕전’에 관한 국가보위성의 지시문이 하달됐다”며 “여기에는 여전히 국경 지역에 남아 있는 중국 손전화(휴대전화) 사용자들에 대해 전면적인 소탕전을 벌일 데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고 전했다.
이번 지시문에 따라 회령시 보위부를 비롯한 함경북도 국경 지역 보위부들에서는 중국 휴대전화 사용자들을 단속하기 위한 수사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회령시 보위부는 ‘올해 연말까지 국경에 남아 있는 잔뿌리들을 무조건 모조리 뽑아버리라’는 국가보위성의 지시에 통신전파탐지와 탐문·위장·잠복·미행 등 수사 방법을 총동원해 중국 휴대전화 사용자들을 색출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 회령시 보위부는 지난달 30일부터 중국 휴대전화 사용자들을 색출하기 위한 활동에 본격 착수했다.
특히 회령시 보위부는 단속된 송금 브로커들을 집요하게 추궁해 다른 송금 브로커들의 정보를 캐낸 뒤 리스트에 올려놓고 동향을 면밀히 추적·감시하며 해당하는 대상의 통화 감청도 수시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중국 휴대전화가 주요 돈벌이 수단이 되는 송금 브로커들은 중국 휴대전화를 사용하다 언제 체포될지 모른다는 공포감에 바짝 긴장해 있고, 외부와의 연락도 최소화하고 있다.
이들은 중국 휴대전화 전원을 켜는 것조차 극도로 자제하고 있으며, 부득이하게 전화를 켜서 통화해야 할 때는 반경 50미터 안팎에 낯선 사람이 없는지 세심히 살피고 통화는 1~2분 이내로 짧게 하고 바로 끊는 식으로 대처하고 있다고 한다.
소식통 “최근 열린 전원회의 이후 보위부의 동태가 심상치 않다. 모르긴 몰라도 정보 유출입 차단에 관한 강도 높은 조치가 요구된 것으로 보인다”며 “지금 여기 분위기가 얼마나 살벌한지 몇몇 주민들은 중국 손전화로 돈 벌던 시절도 이제 끝난 것 같다는 말까지 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중국 휴대전화 사용 의심자로 감시 대상에 올라가 있는 한 송금 브로커 집에는 하루 3회 이상 보위부 정보원들로 보이는 이들이 드나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나만 걸리라는 식의 노골적 감시로 송금 브로커들이 상당히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게 소식통의 말이다.
소식통은 “보위부는 이미 체포된 송금 브로커들을 대상으로 중국 손전화를 가진 다른 사람을 대라고 요구하고 있는데, 거짓으로라도 말하지 않으면 못 배길 정도로 압박하는 수준이 상당하다고 한다”면서 “보위부가 정말 이번에는 끝장을 내겠다는 각오를 한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