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함경북도 청년동맹(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위원회가 호상(상호)비판을 형식적으로 하는 경향을 지적하며 생활총화를 재정비할 데 대한 내부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9일 데일리NK에 “’생활총화에서 형식적인 호상비판이 아닌 진정성 있는 호상비판을 하라’는 내용의 도 청년동맹위원회 지시문이 5월 하순 회령시 청년동맹을 비롯해 도내 기관·기업소 청년동맹 조직들에도 내려졌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에 내려진 지시문의 핵심은 호상비판을 형식적으로 하지 말라는 것이며, 그 외 부수적인 경고성 지시들도 지시문에 담겼다.
실제로 지시문에는 “비판할 대상과 짜고 서로 번갈아서 비판하지 말 것”, “비판을 당한 후 개인적으로 복수를 하거나 따지는 행위를 엄격히 금지할 것”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이 같은 지시문이 내려짐에 따라 회령시 청년동맹은 지적된 내용들이 실제 생활총화 현장에서 나타나지 않는지 직접 확인하겠다며 5월 말부터 두 달간 시 청년동맹 간부들이 각급의 생활총화를 참관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지켜보기’ 차원이 아니라 ‘조직생활 감찰’의 성격으로, 호상비판의 내용과 진위를 따져 보고 청년조직 내부의 사상 상태를 들여다보려는 의도라고 소식통은 말했다.
또 시 청년동맹은 비판 대상과 발언 내용 등을 매주 문서화해 보고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반복되는 비판, 복제된 문장, 지나치게 완곡한 표현 등은 모두 형식성 판단의 기준이 된다고도 밝혔다.
이번 지시가 내려오게 된 배경은 한 청년 간부가 허위 비판 발언을 조작한 사건, 또 다른 한 청년 간부가 자신을 비판한 대상을 인사상의 불이익으로 되갚은 정황 등이 도 청년동맹에 보고되면서다.
도 청년동맹은 “생활총화를 형식적으로 하게 되면 머리통 속의 사상이 비뚤어진다”, “비판 자체를 권력처럼 사용하는 현상을 뿌리 뽑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도 청년동맹은 이런 문제가 한두 곳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도내 청년 조직 내의 전반적인 분위기라고 판단했다”며 “생활총화의 호상비판이 오히려 갈등을 야기하거나 외형적 충성 경쟁 도구로 악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생활총화 재정비를 주문하고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소식통은 “이번 지시의 밑바탕에는 ‘청년교양보장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당중앙의 기조가 깔려 있다”고도 했다.
당의 후비대로 간주되는 청년들의 생활총화가 형식적으로 이뤄지거나 이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고 만성화되면 당의 사상 통제 기능이 무력화된다는 것이 중앙의 우려로, 이번 지시는 청년조직 내의 잘못된 생활총화 문화와 관행, 실태를 바로잡으려는 폭넓은 의미가 담겨있다고 소식통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