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북한 내부에서 “무기를 팔아 조만간 경제강국이 될 것”이라는 말이 주민들 사이에 빠르게 퍼지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보위부가 의도적으로 여론을 조장하고 있다는 의구심도 제기되고 있다.
데일리NK 평안북도 소식통은 27일 “정주시 주민들 속에 ‘무기 장사로 경제강국이 코앞’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며 “이 소문이 그 어느 때보다 빠르고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의 조장 없이는 설명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일부 주민들은 이런 소문을 액면 그대로 믿고 기대감을 내비치기도 하지만, 어떤 주민들은 보위부가 인민반 정보원이나 시장관리원 등을 통해 일부러 소문을 뿌리고 있는 것이라며 의심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보위부가 의도적으로 당국에 유리한 여론을 조장하며 주민 동향을 살피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의구심을 드러내는 주민들은 보위부가 체제에 불리한 소문은 빠르게 단속하고 그 출처를 집요하게 추적하지만, 이런 체제에 유리한 소문은 대중 속에 더 깊숙이 침투할 때까지 잠자코 지켜보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그동안의 경험과 사례에 빗대 의견을 내놓기도 하고 있다.
소식통은 “국가는 민심이 요동칠 때마다 관심을 돌리려 조직적으로 소문을 유포해 왔다”며 “2009년 화폐개혁 실패 때도 박남기(전 노동당 재정부장)를 ‘남조선(남한)의 사주를 받은 간첩’으로 몰아 민심의 화살을 돌린 전례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고난의 행군 시기에는 자강도당 책임비서 연형묵의 청렴설을 부각시켜 특권층의 호화 생활에 대한 분노를 완화하려 했고, 원수님(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초기에는 (김 위원장이) 전연(전방)부대에서 복무했다는 설을 퍼뜨려 동질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그래서 몇몇 주민들은 ‘무기 수출로 경제강국을 이룰 날이 머지않았다’라는 이번 소문도 국가가 민심을 좋게 만들려고 의도적으로 이를 확산시키고 있다고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말 러시아 파병 및 참전 사실을 공식화한 이후 뒤숭숭한 분위기가 지속 감지되고 끊이지 않는 생활난에 민심이 계속 동요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론을 전환하고 경제난 타개에 대한 기대감을 심어주려는 의도로 소문을 퍼뜨리고 있다는 의구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말이다.
소식통은 “보위부가 위험분자들을 색출해 잡아내는 일만 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내부 혼란을 잠재우는 일도 하고 있으며, 주민들과 가까이에 있는 정보원들을 통해 민심을 조작·통제하는 사업을 일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소식통은 “여기(북한) 사람들은 신문이나 TV를 통한 선전선동보다 주변 사람들이 하는 말들을 더 신뢰하고 귀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며 “이에 보위부는 대중들 속에서 조용히 은밀하게 활동하는 정보원들을 통해 주민 동향을 감시하면서 이와 동시에 민심을 형성하는 데에도 활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