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올해 1월부터 최근까지 자국 고유 콘텐츠를 활용한 NFT 기반 외화벌이 실험을 중국에서 은밀히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일리NK 대북 소식통은 26일 “조선컴퓨터센터 기술실무진 수명이 1월 말부터 무역대표부로 위장해 중국의 여러 거처지를 임대하고 NFT(Non-Fungible Token) 작품을 NFT 마켓플레이스에 올려 판매하는 방식으로 외화를 벌 수 있는지 실험했다”며 “기술실무진은 19일 최종 보고서를 본국(북한)에 제출하고 현재 철수한 상태”라고 전했다.
이번 실험은 북한의 새로운 외화벌이 수단 확보 일환으로, 기술실무진은 2~3명으로 나뉘어 약 5개월간 중국 여러 도시에서 해외 네트워크에 접속해 기술 가능성과 수익성 등을 살펴본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북한은 NFT 그 자체보다 그것이 거래되는 마켓플레이스 플랫폼과 익명으로 자산을 옮길 수 있는 구조에 더 큰 관심을 뒀다”며 “블록체인 지갑을 통해 실제 누구의 소유인지 감추고 제3국 법인 명의로 등록해 NFT 자산을 관리하고 수익을 내는 방법에 대한 실험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기술실무진은 금강산 풍경 사진이나 고려청자 사진, 북한 내부 비공개 광산 도면 등 고유 콘텐츠를 디지털 NFT로 전환하고, 실명 인증이 까다롭지 않은 태국과 필리핀 등 동남아 NFT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판매를 시도했다.
이들은 베이징에 등록된 관광·레저회사와 후난성 주저우에 등록된 부동산 개발 회사 산하 법인 명의로 여러 곳에 거처지를 임대하고, 그곳에서 실험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지난 19일 최종 보고를 끝으로 철수해 현재는 인력도 자료도 모두 사라진 상태라고 한다.
소식통은 “기술실무진의 최종 보고서에는 ‘코인은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하는 디지털 화폐이며, NFT는 그 위에 얹히는 디지털 자산이나 상품권 같은 것’이라는 설명과 함께 기술적 가능성은 확인됐지만 수익을 얻기에는 제도적·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결론이 담겼다”고 말했다.
NFT 기반으로 외화벌이하는 것이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중국 내 법적 리스크나 동남아 NFT 마켓플레이스의 불안정성, 수익 대비 높은 운영 비용 등 여러 문제가 있어 이를 당장 실질적인 외화벌이 수단으로 삼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했다는 것이다.
소식통은 “북한 내부에서는 제재를 피해 새로운 외화벌이 확보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기대도 있었지만, 기술실무진은 일단 비효율적이라는 판단을 내린 것”이라며 “여러 가지 외화벌이 전략 중에서 한 가지를 실험한 수준으로, 당분간은 실질적인 외화벌이 방안으로 활용될 가능성은 작으나 이번 5개월간의 실험과 보고서를 토대로 한 또 다른 방법 연구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