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북한군의 러시아-우크라이나전 참전에 관한 주민 여론을 파악하는 사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황해북도 소식통은 14일 데일리NK에 “사리원시 안전부가 지난 6일 시내 동사무소들을 통해 주민들에게 참전에 관한 생각과 심정을 담은 반영문을 제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전했다.
북한 당국이 지난달 28일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서면입장문으로 북한군 파병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참전을 공식화한 이후 내부적으로 이와 관련한 주민 동향을 살피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시 안전부는 인민반장들이 이러쿵저러쿵 이야기하지 말고 그저 반영문을 제출하라는 지시만 주민들에게 잘 전달하라고 밝혔다는 전언이다.
반영문에 이런 내용을 담으라든지 하는 말을 주민들에게 일절 하지 말라고 반복적으로 강조하면서 있는 그대로의 생각과 심정을 담은 반영문을 세대별로 제출하도록 지시했다는 것이다.
소식통은 “안전부는 주민들의 자발적 심경을 담은 반영문을 1~3장 분량으로 받되 세대당 1장 정도면 충분하다고 했고, 또 각 세대의 세대주뿐만 아니라 성인인 세대원은 누구나 반영문에 서명해야 한다고 했다”며 “인민반장들은 이런 것들만 안내하고 말 그대로 절대 아무 말도 하지 말라는 게 안전부의 요구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는 전장에 자식들을 내보낸 후방 가족 주민들의 심경을 있는 그대로 알려는 취지”라며 “안전부 역시 이에 대해 ‘당에서 향후 도내 주민 사상 정책의 방향을 잡기 위한 기초자료로 쓰려는 것이니 주민들의 직접적이고 진실된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또 시 안전부는 이번 반영문 수집 사업이 전국에 통일적으로 내려진 지시에 따른 것이 아니라 도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라 밝혔는데, 주민들은 이런 사업은 도가 자체로 할 수 없는 것이라고 이야기하면서 국가에서 내적으로 지시를 내렸을 것으로 판단하는 분위기라고 한다.
의견수렴의 형식을 빌려 실질적으로는 주민들의 사상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정치사상 사업 방향을 조율하려는 의도가 포함된 국가의 특수한 시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소식통은 “반영문 제출 기간은 16일까지”라며 “인민반장들은 별도의 회의나 집단 토론 없이 책임하에 각 세대에서 정리된 반영문을 수집하게 돼 있으며, 이후 동사무소별로 문건을 정리해 시 안전부에 취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참전에 대한 주민들의 반응이 어떤 식으로 반영문에 담길지 모르지만, 내용과 형식에 상관없이 있는 그대로 중앙에 보고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