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당국이 핵심 엘리트 교육 기관인 혁명학원의 입학 대상 기준을 완화하고 범위를 확대한 것으로 뒤늦게 전해졌다.
13일 데일리NK 북한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노동당 조직지도부는 ‘혁명의 핏줄기 계승’을 운운하며 각 도당위원회에 1호(김정은 국무위원장) 접견자나 맡은 임무에서 특출한 공로를 세운 대상의 자녀도 혁명학원에 입학할 수 있도록 하라는 내용의 지시를 내렸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이른바 ‘혁명 유자녀’로 한정됐던 입학 대상 기준과 범위가 한층 폭넓게 확대됐다.
부모 중 한 명이 나라를 위해 싸우다 전사하거나 직무를 다하다 순직한 경우 그 자녀가 입학 대상 기준에 들어 선발될 수 있었으나 이번 지시에 따라 부모가 모두 생존해 있더라도 당 기관의 추천으로 입학 기회가 주어지게 됐다는 것이다.
과거에도 일부 접견자 자녀들이 혁명학원에 입학한 사례는 있었으나 이번처럼 당에서 공식적으로 혁명학원 입학 대상으로 삼으라는 지시가 내려진 것은 처음이라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소식통은 “혁명학원이라고 하면 만경대혁명학원, 강반석혁명학원, 남포혁명학원, 새날혁명학원 등이 있는데, 이중 핵심적인 대상들이 가는 곳은 평양에 있는 만경대혁명학원과 강반석혁명학원”이라며 “이런 곳들은 과거 입학 문턱이 매우 높아 일반 주민들은 전혀 다른 세계의 교육기관으로 인식해 왔다”고 했다.
혁명학원 입학 대상 기준에 든다고 해도 모두 합격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학업 및 시험 성적도 우수해야 하고 건강에도 특별한 문제가 없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난해 남포혁명학원에 입학한 한 여학생은 9군단 지휘부 부장급 군관으로 있다가 사망한 아버지 덕에 혁명학원 입학 기회가 주어졌으나 한 차례 떨어졌고, 두 번째 시도에 겨우 합격해 입학하게 됐다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지시로 인해 부모의 혁명 및 애국 공로 여부와 관계없이 일정 기준만 충족되면 지역 당위원회의 추천으로 혁명학원 입학이 가능해져, 향후 혁명학원 입학이 경제력과 권력에 크게 좌우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각 당위원회 간부부를 거쳐 최종적으로 책임비서의 수표(사인)를 받아야만 혁명학원 입학 대상자로 선발된다”며 “사람들은 이제는 그(입학) 기준과 범위가 더 넓어졌으니 힘의 논리가 크게 작용할 것이고 결국 새로운 경쟁과 특혜의 구석이 만들어진 것이라는 비판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