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당국이 올해 초 일부 러시아 파견 노동자 숙소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는 등 탈북이나 이상 행위 사전 차단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10일 데일리NK 대북 소식통은 “로씨야(러시아) 내 조선(북한) 노동자들의 탈출 시도나 외부와의 비공식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면서 이같이 알려왔다.
그는 이어 “작년에는 주로 간부들이 직접 파악하거나 동료 간의 밀고로 단속됐지만 지금은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면서 “이제는 특별 감시 대상으로 분류된 노동자는 GPS(위성항법시스템) 추적 장치를 소유하게 하는 등 전자 감시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호 감시 체계를 넘어 이제는 전자통신 체계를 통해 실시간 감시와 단속이 가능한 방법까지 강구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 당국은 그동안 해외 파견 노동자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전화 압수, 기기 검열, 밀고 독려 등의 방법을 써왔다. 하지만 이제는 고도화된 전자 장비까지 활용하고 있다. 파견 노동자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 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내놓고 있는 셈이다.
다만 아직 모든 숙소에 CCTV가 설치된 건 아니라고 한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건설 작업의 특성상 임시 숙소이기 때문에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당국은) 모든 곳에 다 설치하겠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노동자들이 휴식하는 때에도 일상적으로 감시하겠다는 계획으로, 사생활을 침해하는 ’정보 감옥‘을 구축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정기적 ‘데이터 이용 감시’도 빼놓지 않고 있다는 전언이다. 현지 북한 대사관이나 보위부 검열단이 주기적으로 노동자들의 숙소에 급습해 기기 사용 여부를 파악하거나 압수하는 방식도 여전히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관리 업무를 맡고 있는 ‘간부’들도 예외는 아니다.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 간부들 사이에서 한국 드라마나 영화, 음악 등을 몰래 즐기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소식통은 “간부들 숙소에까지 CCTV를 설치하는 건 아니지만 동료 간의 상호 감시와 상급 간부의 정기적인 검열이 진행 중”이라면서 “조선 정부는 휴대전화나 USB 등을 통해 영화를 돌려보고 있다고 보고 ‘신고 안 하다가 걸리면 강력 처벌한다’는 식으로 이야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상호 감시를 법제화한 ‘군중신고법’을 외국에서도 철저히 적용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보여주기식 처벌도 지속되고 있다. 일례로 지난달 중순 모스크바 건설회사에서 일하던 2명의 북한 노동자가 러시아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외부인과 접촉을 시도했다는 이유로 적발되기도 했다.
소식통은 “처벌 사항이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내부에서는 ‘귀국 조치됐고, 이후 재교육 강습 기관에서 교육받고 이후 강제노동하거나 공개 투쟁에 나가서 망신을 받는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말들이 오가고 있다”고 했다.
한편 북한 당국은 파견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사상 교육’을 강도 높게 진행 중이다. 특히 최근에는 “(북한) 체제의 우월성과 미국이나 한국 등 적대세력에 대한 경계심을 고취하는 다양한 계급 교양이 진행되고 있다”고 소식통은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