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이 대사관과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과 노동자 송환 및 교체 문제를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내부 고위 소식통은 30일 데일리NK에 “최근 대사관이나 외교적 통로를 통한 중국과의 긴밀한 협상을 통해 여러 가지 (노동자 파견과 관련한) 실무적 문제를 해결했다”면서 “이렇게 긴밀히 협력하고 있기 때문에 노동자 중국 파견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달 초 국내 한 언론으로부터 촉발된 ‘전원 송환 요구설’ 이후 북한 당국은 대사관과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 정부 측에 노동자 송환 및 교체에 관한 문제를 설명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방향으로 협의를 마쳤다.
또 해외 파견 노동자가 주요 외화벌이 자금원인 만큼 노동력이 필요한 중국 측 회사와 긴밀한 소통을 진행하기도 했다는 전언이다. 여기서 북한 당국은 ‘(중국은) 일손이 부족한데, 우리나라(북한)만큼 일 잘하고 녹은(싼) 노력이 어디 있겠냐’는 점을 강조했다고 한다.
현재 북한은 특별한 정책 변동 없이 중국에 지속해서 노동자를 파견하겠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노동자 신규 파견 움직임도 비교적 활발하게 전개되는 양상인데, 이와 관련해 소식통은 “약 500명이 현재 중국 파견 대기 중이며, 주로 여성들”이라며 “70% 정도가 수산물 쪽, 나머지가 30% 정도가 봉제 쪽으로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이들은 주로 함경도, 평안도, 평양시 거주자로, 심사는 지난 3개월간 진행돼 최근에 마무리됐다”고 설명했다. 북한 내부적으로 중국에 신규 노동자를 파견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 이미 진행됐다는 뜻이다.
최근 북한과 러시아가 경제뿐만 아니라 군사 분야까지 협력하는 등 밀착하고 있는 상황에 일각에서는 ‘러시아 쪽에서 더 많은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 보니 중국이 (북한의 외교관계 중요도) 순위에서 밀려났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를 의식한 듯 북한 당국은 외무성과 대외경제성에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을 최소화하라’는 지시를 내리는 등 주의를 주기도 했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그는 “로씨야(러시아)에 더 많이 노동자를 파견하는 방안을 우선 고려하고 있으나 중국에도 아예 안 보내는 게 아니라 소규모로 자주 내보내겠다는 계획”이라면서 “외화벌이를 위해 그 어떤 국가에라도 파견을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국가의 원칙은 당자금, 외화계획분 획득과 조로(북러), 조중(북중) 양국 간 경제적 협력 강화와 이익적 견지가 우선시 돼야 한다는 것”이라며 “로씨야나 중국과 지속 협력하면서 이들의 이익에도 부합하는 방식으로 노동자 파견 정책에서 유연성을 발휘하겠다는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