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중국 랴오닝(遼寧)성의 일부 지역 공안이 탈북민들에게 매일 ‘인증샷’을 요구하는 등 감시를 한층 더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17일 데일리NK 중국 현지 대북 소식통은 “지난달 말부터 랴오닝성 차오양(朝陽)시에서 공안이 탈북민들의 휴대전화에 얼굴을 인증하는 앱을 설치하는 사업을 시작했다”면서 “공안은 이 앱을 통해 매일 아침마다 얼굴 인증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중국은 탈북민들을 철저히 통제·관리해야 하는 불법 체류자로 간주하고 있는데, 이들의 한국행 시도를 차단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으로 감시를 강화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앞서 본보는 지난 2월 탈북민 2명이 한국에 가자는 메시지를 주고받았다가 며칠 뒤 공안에 체포되는 일이 있었다고 전한 바 있다. (▶관련 기사 바로가기: 중국 내 탈북 여성들, “한국 가자” 문자 주고받았다가 체포)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공안은 탈북민들의 휴대전화 통화 내역이나 문자 메시지를 검열하면서 한국행 기도 정황이 조금이라도 보이면 체포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최근에는 얼굴 인증 앱까지 도입해 감시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이 앱으로 얼굴을 인증하면 위치뿐만 아니라 인적 사항까지 모두 뜨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차오양시에 거주하는 탈북민들은 정신적 압박과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실제 이들은 “손과 발이 꽁꽁 묶인 느낌이어서 숨이 안 쉬어진다”, “이젠 희망이 없다”, “감옥 아닌 감옥에서 살고 있다”는 등 큰 절망감을 토로하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한 탈북민은 “10대 후반에 중국으로 넘어와 10년 넘게 살면서 얻은 것은 스트레스로 인한 병밖에 없어 늦게나마 한국에 가려고 결심했는데 코로나로 한국행이 어려워져 지금까지 가지 못하고 있다”면서 “최근에는 공안이 얼굴 인증 앱을 설치하게 하고 매일 얼굴 인증을 요구하고 있는데 앞으로 이렇게 계속 살아야 하는지 앞이 캄캄하다”고 털어놨다.
탈북민을 대상으로 한 중국 공안 당국의 앱 설치 및 인증 조치는 선양(瀋陽) 등 랴오닝성 내 다른 지역을 비롯해 중국 전역으로도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앞으로 탈북민들이 느끼게 될 압박의 강도가 더욱 세질 것으로 보인다고 소식통은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이달 초 지린(吉林)성의 한 도시에서는 한국행을 위해 브로커와 통화한 한 탈북민에게 공안이 찾아와 통화 내용을 그대로 언급하면서 경고하고, 매일 집에서 찍은 인증샷을 요구하는 일이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른 중국 현지 소식통은 “이 탈북민은 지금도 매일 사진을 찍어 공안에 보내고 있다”며 “앱을 통한 인증을 본격화하기 전 과도기적 단계로 휴대전화 인증사진을 찍어 보내도록 해 감시·단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