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백화점 화재 사건에 7월 한 달 ‘소방 안전 검열’ 실시

화재 발생 시 위험 큰 곳들의 소방 시설·장비 철저히 점검하라는 사회안전성 지시문 내려져

대성백화점
북한 평양에 위치한 대성백화점. /사진=조선중앙통신 홈페이지 캡처

7월 한 달 동안 화재 발생 시 상대적으로 위험이 큰 건물이나 시설에 대해 소방 안전 검열을 실시하라는 사회안전성의 지시문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데일리NK 북한 강원도 소식통은 15일 “7월을 소방법 집행 정형(실태) 검열 총화 기간으로 정하고 도별로 소방 안전 검열을 실속있게 진행할 데 대한 사회안전성의 지시문이 이달 초 도 안전국에 내려왔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지시는 평양시 대성백화점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에서 비롯됐다.

지난 3일 백화점 식품 창고에서 취사용 휴대 가스통이 폭발해 소규모 화재가 발생했는데, 당시 현장에 있던 소화기는 소화액이 없는 빈 통이었고 모래주머니나 물통과 같은 기본적인 도구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것이다.

소식통은 “사회안전성은 이번 지시문에서 대성백화점 식품 창고에서 발생한 소규모 화재 사건을 언급하면서 검열 단위의 모든 소방 시설과 장비를 철저히 점검하고 부족분에 대한 비축 대책을 세울 것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사회안전성은 이번 검열이 인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면서 도 안전국이 7월 말까지 철저한 소방 안전 검열을 완료하고 필요한 모든 소방 장비 구비 대책 마련해 보고할 것을 지시문에 못 박았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사회안전성의 지시문을 접수한 강원도 안전국은 곧바로 백화점 식품 창고, 쌀 도정 공장, 병원, 양로원, 화학공장, 지하 시설, 고층 건물 등 특정 시설이나 건물을 검열 단위로 정해 소방 안전 점검에 나섰다고 한다.

도 안전국은 검열에 앞서서 화재 예방과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이번 검열의 근본적인 목표라는 점을 분명하게 밝혔다는 전언이다.

소식통은 “도 안전국은 특히 화재 발생 시 행동 규칙을 숙지하고 있는지가 중요한 점검 항목 중 하나라고 짚었다”며 “이번에 각 단위에서 근무하는 인원들이 화재 사고 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교육받고 있는지, 이에 관한 훈련은 이뤄지고 있는지 등을 꼼꼼하게 검열한다는 방침”이라고 했다.

다만 현장들에는 화재 발생 시 행동 규칙을 제대로 숙지한 인원이 손에 꼽을 정도고, 기껏해야 모래주머니나 물통 정도만 비치돼 있는 수준일 뿐 소화기 같은 기본적인 기구도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이런 상황에 도 안전국은 물론 검열받는 단위들 속에서도 “핵과 미사일을 만드는 국가가 소방시설이 열악하다는 게 말이 되느냐”, “지금부터라도 설비나 기구를 제대로 갖춰놓고 현대화해야 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