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우크라이나 동부 러시아 점령지 파견 인력 추가 선발 예정

소식통 "2차 선발 작업 11월 1일부터 진행…300명 정도 선발될 것으로 보여"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중심에서 북서쪽으로 50Km 떨어진 보로디안카의 한 아파트가 무너져 내려 있는 모습. 보로디안카는 지난 3월 러시아군의 침공 초기 키이우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해 큰 피해를 본 지역이다. /사진=연합

북한이 우크라이나 동부 러시아 점령지역에 파견할 인력을 추가 선발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규모는 약 300명 정도이며 외화벌이가 주목적이라는 게 소식통의 전언이다.

북한 내부 소식통은 24일 데일리NK에 “로씨야(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역 재건 사업에 투입할 파견 노동자 2차 선발 작업이 오는 11월 1일부터 진행될 예정”이라면서 “각 (내각) 성과 위원회에 지방모집 뽄트(정원, 추천권) 내려보냈고 각 기업소별로 11월 말까지 간부부로 추천해야 한다”고 전했다.

앞서 본보는 북한이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재건 사업에 파견할 인력을 선발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관련기사 바로 가기: 北, 우크라이나 동부 러시아 점령지에 노동자 송출 준비 중)

소식통은 “이번 2차 선발은 총 6패(조)를 조직하려고 한다”며 “한패를 50여 명 정도로 보고 있어 전국적으로 대략 300명 정도 선발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미 1차로 선발된 인원(800~1000여 명)을 감안하면 상당한 인력이 해외에 파견되는 셈이다.

그러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 2017년 12월 대북제재 결의 제2397호를 채택해 북한 노동자의 해외 파견을 금지하고 있다. 북한이 대북제재를 정면으로 위반하며 러시아에 노동자를 파견하는 이유는 외화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국가 외화 자금이 고갈 나게 생겨 노동자를 파견할 수밖에 없는 급한 상황”이라며 “노동자 파견이 국제 제재 사항이니까 비법(불법)이든 합법이든 받아주겠다는 나라가 있고 돈이 된다면 전부 내보낼 판”이라고 말했다.

대북 제재 상황에서 기회만 되면 앞뒤 가리지 않고 노동자들을 해외에 파견해 외화를 벌어들이려 한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실제 소식통은 “사정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지만 한 달에 적어도 600~700딸라(달러)를 벌어들이겠다는 것이 국가계획”이라면서 “이 때문에 노동자들이 받는 돈은 그 이상이어야 타산이 맞는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2차 선발에도 평양 등 대도시보다 지방의 주민들이 주로 지원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파견지에 대한 정보를 비교적 많이 알고 있는 대도시의 주민들은 안전상의 문제 등으로 지원을 꺼리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소식통은 “평양 사람들이나 간부부에 안면 있는 사람들은 (파견지) 실정을 알아나가려 하지 않고 가족들도 나가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며 “평양 사람들이 나가지 않으려 하니 될수록 지방 사람들에게 뽄트를 많이 주려고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평양, 남포, 평성 등 큰 도시 간부부 사람들은 이번처럼 외국에 안 나가겠다고 하는 사람들 태도는 30년 만에 처음이라고 이야기한다”며 “뽄트가 없어서 나가지 못해 하던 옛날과 다른 징후”라고 덧붙였다.

반면 지방의 주민들은 파견 지원에 큰 거부감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전언이다. 분쟁지역이긴 하지만 설마 죽기야 하겠느냐는 생각이라는 게 소식통의 말이다.

소식통은 “어떤 지방 사람들은 국가가 죽음의 한복판에 사람들 떠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면서 “그들은 국가 간 (계약을) 잘 체결해서 될수록 안전한 곳에서 일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