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사로 출소하는 대상 험지 탄원 추동…관련 지침도 내렸다

10년 전 개천교화소 사례 들며 출소자 사상사업 진행…"당의 배려에 보답할 길 열어주라는 것"

평안남도 개천 제1교화소 위성사진. /사진=구글어스 캡처

북한이 김일성 생일 110주년(4월 15일)과 김정일 생일 80주년(2월 16일)을 기념해 오는 30일 대사(大赦)를 실시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각 교화소에는 이번 대사로 출소하는 이들의 험지 탄원을 추동하라는 내부 지침이 전달된 것으로 전해졌다.

26일 데일리NK 북한 내부 소식통은 “전국 교화소 교화과들에 이번 대사령에 대한 사회안전성 교화국의 네 가지 지침이 내적으로 내려왔다”며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사회안전성 교화국은 먼저 오는 30일 대사로 출소하는 대상들이 탄광, 광산, 농촌 등 사회주의 건설의 어렵고 힘든 부문에 탄원하도록 사상사업을 진행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그러면서 10년 전 김일성 생일 100주년 기념 대사 때 제1교화소(개천교화소) 교화과가 남성 출소자 10여 명을 1개 소대로 묶어 평안남도 순천의 직동탄광에 진출시켰던 실례를 들었다.

안전성 교화국은 당시 10여 명의 남성이 대사로 감형받아 출소하나 당에 대한 마음의 빚을 내려놓을 수 없다면서 험지로 탄원했고, 진출해 간 직동탄광에서도 붕락 구간 등 어렵고 힘든 곳에서 일하면서 생산계획을 120~130% 이상 수행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서는 특히 이들이 탄광에 정착해 1년간 계획을 초과 완수한 뒤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편지를 올렸는데, 김 위원장이 이를 읽고 ‘동지들의 편지를 기쁜 마음으로 받아보았습니다. 우리 당은 동지들을 굳게 믿습니다’라고 직접 봉투에 써서 답장했다는 점도 언급됐다. 이에 직동탄광에서는 이 친필서한 문구를 돌에 새겨 비석으로 세우기도 했다는 것이다.

소식통은 “사회안전성 교화국은 이들이 대사로 출소한 지 10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직동탄광에서 계획을 완수하고 있는 것은 제1교화소 교화과가 이들을 적극 지원하고 도와줬기 때문이라고 했다”며 “즉 제1교화소처럼 출소자들을 집단으로 무어(뭉쳐) 탄원하도록 추동해 당의 배려에 보답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라는 것이 이번 지침의 의도”라고 말했다.

이 같은 지침이 내려오자 제1교화소는 10년 전 경험을 살려 전국 교화소들의 표본이 되겠다면서 이번 대사에 따른 출소 대상자들을 한 명씩 개별담화해 험지로 자원할 의향이 있는지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제4교화소(강동교화소)와 제9교화소(함흥교화소)에서도 출소 대상자들을 개별담화하면서 탄원자들을 추리고 있다는 전언이다.

또한 안전성 교화국은 오는 30일 출소 대상자 가운데 교화소 입소 전 평양시에 거주했던 이들은 탄원과 관계없이 전부 어렵고 힘든 부문에 보내라는 지침을 내렸다고 한다.

소식통은 “그동안 평양 사람은 교화 갔다 오면 평양으로 다시 못 들어가고 국경을 제외한 지방의 연고가 있는 곳으로 보내졌다”며 “그런데 이번에는 연고와는 아무 상관 없이 무조건 탄광, 광산, 농촌 등으로 보내고 기존 3년에서 2년 더 늘려 5년간 여행증명서를 떼주지 말라고 했다”고 전했다.

평양 출신은 사실상 강제로 험지에 가게 되는 셈이라 이에 해당하는 대상들이 ‘삼중처벌’(교화, 지방 추방, 험지 진출)이 아니냐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21년 8월 30일 어렵고 힘든 부문에 탄원 진출한 청년들을 만나 이들을 격려해줬다고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신문은 김 위원장이 이들의 손을 일일이 잡아주며 이들의 선행과 정신 세계를 높이 평가했다고 전했다. /사진=노동신문·뉴스1

아울러 안전성 교화국은 탄원자와 전 평양시 거주자를 제외한 나머지 출소자들은 이전 거주지 당위원회와 사회안전기관에 인계하라는 것을 세 번째 지침으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모든 출소 대상자들에 대해서는 사회 옷을 입혀 내보내라고 덧붙였다.

소식통은 “출소자들의 겨울 동복과 신발은 교화소가 자체적으로 마련해야 하는 형편”이라며 “이에 교화반 담당 안전원들은 면회 오는 사람들에게 속도전가루(튀기가루, 옥수수 분말)를 세부담으로 받아 이를 장마당에 내다 팔고 그 돈을 보태 해결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안전성 교화국은 산하 관리소(정치범수용소)의 출소 대상자들을 탄광, 광산, 농촌 등으로 보내라는 지침을 전달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들을 국경과 교통 요지를 제외한 지방의 험지로 보내고, 같은 관리소 출신들이 같은 행선지를 받지 않도록 뿔뿔이 흩어놓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관리소 출소 대상자들은 사회안전성이 관리소 정문에서부터 행선지까지 차로 실어다 놓는데, 일단 행선지의 지역 안전부 대기실(감옥)에 들여놨다가 주거 공간이 확보되면 내보낼 예정”이라며 “특별히 이 대상들은 한 달 동안 지역 안전부에서 현행 당정책과 사회생활에 필요한 준칙들을 알려주는 정치사상교양 강습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