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단둥서 5G 이용 밀무역 단속”…국경 전 지역으로 확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왼편에는 북한 신의주(평안북도), 오른편에는 중국 단둥(랴오닝성)이 보인다. /사진=데일리NK

최근 중국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 인근에서 5G 기술을 이용한 밀무역 단속이 이뤄지고 있다고 소식통이 전해왔다. 앞서, 홍콩의 한 일간지는 중국 지린(吉林)성 윈펑(雲峰) 지역에 5G 검문소가 시범 설치된다고 보도한 바 있으나 단둥 인근 지역에 설치 여부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중국 당국이 밀무역 및 도강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국경지역에 5G 검문소를 설치·운영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대북 소식통은 3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지난 4월 중순경 중국 밀무역상들이 랴오닝성 단둥의 후산창청(虎山長城)과 둥강(東港)시 근처에서 단속에 걸려 붙잡혔다”며 “평소 단속이 취약한 곳에서 밀수하던 중국 밀무역상들이 당국의 5G망을 이용한 단속에 속속 붙잡히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전 망(4G)은 사람 얼굴 인식과 분석하는 데 시간이 걸렸고 이에 군대들이 밀수 현장에 도착하면 밀수꾼들은 현장을 벗어난 경우가 많았었다”면서 “그런데 5G망으로 검문을 하니 바로 출동해 밀수꾼들이 도망갈 틈도 없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5G 이동통신은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20Gbps에 달하는 기술로, 4세대 이동통신인 LTE에 비해 속도가 20배가량 빠르고, 처리 용량은 100배 많다.

이런 기술적 진보를 단속에 적용할 경우 순찰대원은 가상현실 투시경, 드론, 4K급 화질의 실시간 영상 등을 활용해 이전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광범위한 감시가 가능하다고 한다.

소식통은 “5G망 때문에 지금 밀무역꾼들은 몸을 움츠리고 있으며 감히 밀수할 엄두를 못 내고 있다”면서 “단둥에서는 조선(북한)과 밀무역으로 사는 사람들이 많은데 지금 중국 당국에 대한 불만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중국 국무원의 ‘제13차 5개년 국가 정보화 계획(十三五国家信息化规划)’ 및 공신부(工信部)의 ‘정보통신업계발전계획(信息通信行业发展规划(2016~2020年)’ 등을 통해 5G 육성 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 중이며 내년까지 중국 전역에 5G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은 상하이(上海), 베이징(北京) 등 16개 지역에서 5G 네트워크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렇지만 5G를 활용한 단속이 이뤄졌다는 단둥은 시범지역이 아니라고 한다.

때문에 중국 당국이 민간에 기술이 상용화되기 전 국경경비대 같은 군에 우선적으로 기술을 적용해 먼저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농후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근 중국 당국의 북중 국경지역 밀무역 단속이 상당히 늘어난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관련 일본의 북한 전문매체 아시아프레스는 지난달 23일 중국 당국이 통관 검사와 밀수 단속을 훨씬 엄격하게 시행하고 있고, 중국 국경경비대도 밀수꾼에게 우호적이지 않은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