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남도 등 최근 북한 일부 지역에서 결핵 환자가 급증하고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매년 2회에 걸쳐 정기적으로 북한을 방문해 결핵 환자들의 치료를 돕고 있는 민간단체 유진벨재단이 “내년 6월이면 북한에서 결핵 치료약이 바닥난다. 북한의 결핵환자들에 대한 응급 지원이 필요하다”고 30일 호소했다.
최세문 유진벨재단 이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 센터에서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14일까지 3주간 진행된 방북에 대한 특별보고 기자회견에서 “결핵 치표제의 공백 사태를 막기 위해 시급히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다.
최 이사는 이어 “북핵은 국제정치에서 복잡하게 풀어야 하지만 결핵은 남북한의 의지만으로 풀 수 있다”며 “결핵 문제는 미래 세대에 영향을 미치는 중차대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 사회가 항결핵제를 지원하는 것은 공기로 전염되는 결핵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한국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는 길이기도 하다”며 “한반도의 결핵 문제를 남북한이 자주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진벨재단은 이번 방북 기간 동안 약 700명의 환자를 신규 등록해 진료했으며 20개의 병동이 평양 사동 다제내성결핵센터에 설치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재단은 또 결핵진단 장비 ‘진엑스퍼트’(GeneXpert)를 통해 결핵 진행 정도를 빠르게 판별해 환자를 관리, 진료 할 수 있었으며 열악한 북한 전력상황을 고려해 태양열 발전을 통해 장비 이용 방안을 연구했다고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2018년 결핵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은 513명으로 세계 최고 수준에 해당한다. 최 이사는 WHO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북한에서 한해 1만 6천여 명이 결핵으로 사망한다”며 “북한의 결핵 상황을 한국 사회가 방관한다면 역사적 기록으로 남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같은 수치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 국가 보건 의료 체계가 붕괴되면서 병원을 통해 결핵 치료약을 제공받고 지속적인 진료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북한 주민들 대부분은 체계적인 진료를 받지 못하고 시장에서 약을 직접 구입해서 자가 진료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결핵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자가 진료할 경우 가족이나 지역사회도 감염에 노출돼 관리가 더 어려워진다.
스티븐 린튼(한국명 인세반) 유진벨재단 회장은 “결핵 치료는 익사하고 있는 사람에게 구명조끼를 던져주는 일과 같다”며 “신속한 조치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린튼 회장은 “(결핵) 센터가 있는 평양, 개성, 남포 등과 가까운 곳은 상대적으로 (치료 상황이) 낫지만, 다른 지역의 몸이 약한 환자들은 진단 장비가 갖춰진 곳으로 이동하기가 쉽지 않다”며 “진단 할수록 환자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상시적인 진단을 위해 군(郡) 단위까지 진단장비가 보급돼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결핵과 관련된 지원이 정치적인 분위기에 묻힐 때가 많다”며 “화재시 소방차를 투표 후에 보내는 것이 아닌 것처럼 결핵에 대한 지원은 초정치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