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건설 노동자 수 명이 지난 8월 말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인근에 있던 작업장에서 탈출, 우리 총영사관에 망명 의사를 밝혔다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북한 당국이 관리감독을 맡고 있는 지배인과 보위지도원(부지배인)을 노동자들 이탈 이후 즉각 북한으로 소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데일리NK 취재 결과, 이탈 노동자들은 조장을 포함해 6~10명 정도로 추정되며, 조장의 주도 하에 망명을 타진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150여 명 규모인 건설 회사 ‘목란’ 소속 노동자로 파악된다.
해당 회사 사정에 정통한 현지 소식통은 12일 데일리NK에 “노동자들이 이탈한 회사는 지금 ‘벌통(벌집)’과 같은 상황”이라면서 “조장이 노동자들 데리고 뛰었다(도망갔다)는 게 알려지자마자 평양에서 사장(지배인)과 보위지도원을 소환했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이어 “소환된 후에는 책임 추궁 후 처형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통상 북한은 대외건설총국을 통해 150여 명으로 이뤄진 건설 회사를 러시아 각지에 파견하고 있다. 이 같은 회사는 지배인-부지배인-작업반장-작업조장-노동자 구조로 운영된다. 이번 탈북은 특정 작업반에 속한 한 조에서 일어난 사건이라는 것이 소식통의 전언이다.
이 소식통은 “정황을 들어보니, 조장이 데리고 있던 사람들 중 6~10명 정도를 작업장에 데리고 나갔다가 그대로 한국 영사관에 전화했다고 한다”면서 “조장의 주도로 순식간에 이탈이 일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탈 사고가 난 회사명은 ‘목란’인 것으로 안다”고 소개했다. 보통 대외건설총국에서 러시아로 파견하는 건설 회사들은 대부분 ‘강성회사’ ‘목란’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특히 소식통은 “10명 가까이 되는 인원이 탈북했다는 게 알려지면 러시아 파견 노동자들 사이에서도 파장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월 중국서 발생한 북한 종업원 13명 탈북 이후 집단 탈북 사건이 연쇄적으로 발생한 만큼 러시아에서도 유사한 상황이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복수 매체에 따르면, 우리 총영사관에 탈북 의사를 밝힌 북한 노동자들은 현재 국제인권기구를 통해 안전지대로 옮겨졌으며 우리 정부도 이들의 한국행을 위한 절차 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눈여겨볼 것은 이번 탈북 사건이 일어난 회사에서의 이탈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이다. 올해 초에도 동(同) 회사인 목란에서 이탈해 한국으로 들어온 사례가 있다는 것.
어렵게 연락이 닿은 이 탈북민은 12일 데일리NK에 “서로가 서로를 끊임없이 감시하고 통제하기 때문에 아무리 가까운 동료라고 해도 깊은 이야기를 나누기가 어렵다”면서 “그런 상황에서 집단 탈북이 이뤄졌다는 건 굉장히 놀랄 일”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회사 내에서 스마트폰을 비밀리에 갖고 있던 노동자가 거의 40%는 됐던 것으로 기억한다”면서 “아마도 이를 통해 본 북한 실상이 이들의 마음을 움직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집단 탈북 역시 열악한 근로 환경에서 착취를 견디다 못한 노동자들이 최근 해외 파견 근로자 및 간부들의 연쇄 탈북을 보고 이탈을 결심했을 가능성도 크다. 특히 비밀리에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노동자들 사이에서 외부 매체가 전해주는 북한인권 유린 실태를 듣고 체제에 염증을 느껴 탈북을 감행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북한 밖 북한’이라 불릴 만큼 해외 각지에서 처참한 인권 유린을 당해온 북한 노동자들의 연쇄 탈북이 지속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보 당국 소식통도 “북한 해외 노동자들 중 우리 공관을 통해 탈북 의사를 밝히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면서 “인원이 갈수록 늘어나 각각 순서를 정해 탈북 절차를 진행해야 할 정도”라고 말했다.
한편 건설업과 임업 위주로 러시아에 파견되는 북한 노동자들은 임금·노동 착취는 물론 탈북 방지를 위한 극악한 신체 훼손까지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 5월 데일리NK 특별취재팀이 러시아 현지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 건설 노동자들은 매달 북한 당국에 최대 1000달러 이상의 계획금(상납금)을 바치기 위해 하루 20시간 이상의 중노동을 하기도 한다. (▶관련기사 : “러시아 北노동자, 하루 20시간 중노동에 이빨 다 빠져”)
뿐만 아니라 이들이 탈북을 시도했다가 붙잡힐 경우, 현지서 감시를 담당하는 보위부원들에 의해 아킬레스건을 잘리거나 굴삭기로 신체가 훼손되는 등 보복성 처벌을 당한 채 북한으로 송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보위부원들이 이 같은 처벌로 공포 분위기를 조성해 추가 탈북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는 게 현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