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물꼬 트려는 정부, 수해지원 시간문제

한반도 전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내리면서 북한 지역 피해 상황도 비상한 관심이다. 북한은 이미 7월 중순 집중호우로 피해가 늘어나자 평양 주재 UN기구들에 현장 방문과 물자 지원을 요청한 상태다.


국제적십자사연맹(IFRC)은 황해도 지역에 구호물품을 분배하기 시작했고, WFP는 합동대책단을 구성해 수해 규모를 파악하고 있다. WFP를 비롯한 국제기구의 수해 지원은 시간 문제이다. 반면, 우리 통일부는 27일 대북수해 지원과 관련해 어떠한 검토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수해 지원을 고려하고 있지 않은 이유는 피해상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27일 오전까지 파악한 바로는 피해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날 내린 집중 호우로 서울에서 산사태와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하면서 북측 피해상황도 ‘미미하다’고만 간주하기는 어렵게 됐다. 


또한 정부는 인도네시아 발리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남북대화 재개 시동을 켜고 있는 상황이어서 수해 지원에 각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 사이 금강산 관광 회담을 제안(북측이 거부함)했고, 밀가루 지원도 승인했다. 


통일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의 수해상황과 지원필요성에 대한 판단이 전제돼야 대북 수해 지원 여부를 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국제기구나 북한 당국의 공식적인 발표가 있을 경우 수해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포하고 있다.


지난해 천안함 폭침 사건 발생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100억 원 상당의 수해지원 물품을 보냈다. 한적이 먼저 지원의사를 밝히자 북측이 구체적인 물품을 요청해왔고 우리측과 협의가 이뤄져 단둥(丹東)을 통한 지원이 진행됐다.   


남측의 지원을 위해서는 북한의 피해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이 선행돼야 한다. WFP 등의 집계가 나오면 정부가 이에 대한 분석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달 말 태풍 ‘메아리’에 평양 대동강이 넘치는 피해를 입었고, 보름 넘게 계속되는 장마와 갑작스런 집중호우로 황해도 지역에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데일리NK 평양 소식통은 메아리 피해에 대해 “가로수로 심어놓은 뽀쁘라(포플러) 나무가 뿌리채 넘어져 도로가 다 파괴됐다”며 “그에 따른 영향으로 무궤도 전차도 한동안 다니지 못해 사람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고 말했다.


이어 “산사태나 나무에 깔려 집이 부서지는 일도 종종 있다”며 “농작물 피해도 심각하다. 농작물이 얼 정도는 아니지만 냉해 피해까지 입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황해도 개성과 해주 지역에는 12-15일까지 각각 211mm, 263mm, 25~27일 오전 10시까지 각각 281mm, 224mm 강우를 기록했고, 이후에도 추가로 100mm 가량 내린 것으로 보고됐다.


우리 정부가 북한과 다양한 접촉면을 형성, 대화재개 흐름을 적극적으로 조성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번 수해 상황에서 지원 제의 카드를 꺼내는 것도 시간 문제로 보는 관측이 많다.


지난해 우리 정부는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쌀 5kg 봉투 100만포(5천t), 시멘트 40kg 포대 25만포(1만t), 컵라면 300만개 및 소량의 생필품과 의약품 등을 수해지역인 신의주, 개성에 보내기로 결정했으나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중단된 바 있다.